전국 사과의 57%를 거래하는 최대 규모의 산지형 도매시장인 경상북도 안동도매시장이 시설 현대화를 통해 지역 농산물의 유통 중심지로 확고히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러한 시설 현대화 사업은 추석과 같은 성수기 물량 적체 현상을 해소하고 거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데 크게 기여하며, 앞으로도 산지 농산물의 경쟁력 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안동도매시장은 지난 2018년 농림축산식품부의 공영도매시장 시설현대화 공모사업에 선정되어 총 300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했다. 이 사업을 통해 기존 시설을 리모델링하고, 5,683㎡ 규모의 경매 시설을 신축하여 기존 15,232㎡에 비해 약 37%의 면적을 확충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러한 물리적인 확충은 곧바로 거래 실적 증가로 이어졌다. 지난해 추석 성수기 둘째 주간 거래량이 5,700톤이었던 것에 비해, 올해 같은 기간에는 22% 증가한 7,000톤의 거래량을 기록하며 활발한 거래가 이루어졌음을 증명했다.
특히, 안동도매시장의 시설 현대화는 매년 반복되던 추석 성출하기 물량 적체 해소에 상당한 기여를 했다. 과거에는 추석 6~7주 전부터 출하자 순번표를 배부해야 할 정도로 물량 쏠림 현상이 심했으나, 올해는 추석 한 달 전 일평균 거래량이 지난해 대비 12% 증가한 871톤을 기록하며 추석 성수기 거래의 안정화를 이끌었다. 이는 확대된 시설 규모를 통해 더 많은 물량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1997년 개장 이후 28년간 꾸준히 성장해 온 안동도매시장은 이제 지역을 넘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사과 전문 도매시장으로 그 위상을 확고히 했다. 지난해 총 27만 8천 톤의 전국 사과 거래량 중 15만 8천 톤, 즉 57%를 안동도매시장이 담당했으며, 거래 금액 역시 7,200억 원에 달해 서울가락, 서울강서, 대구, 구리에 이어 전국 5위 규모를 자랑한다.
안동도매시장의 성공 비결은 독특한 운영 시스템에도 있다. 일반적으로 출하자가 상품을 선별하고 포장까지 완료한 후 도매시장에 출하하는 방식과 달리, 안동도매시장은 출하자가 수확한 사과를 그대로 가져오면 선별부터 경매까지의 전 과정을 시장에서 일괄적으로 수행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출하자가 상품화에 드는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게 하며, 동시에 매수인은 품질이 검증된 상품을 구매할 수 있어 효율성과 신뢰성을 모두 갖춘 거래 구조를 완성했다.
김주령 경상북도 농축산유통국장은 “산지형 도매시장은 소비지 대형 도매시장 중심의 독과점적 유통 구조를 완화하는 대안이 될 수 있다”고 강조하며, “농산물 유통 경로를 다변화하고 산지의 교섭력 강화를 위해 안동도매시장과 같은 산지형 도매시장의 성장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안동도매시장의 성공 사례가 전국적인 농산물 유통 혁신 모델로 확산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하며, 앞으로도 산지 농산물의 유통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