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로봇 청소기 업체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무서운 성장세를 보이며 존재감을 과시하고 있다. 글로벌 스마트 가전 로봇 청소기 시장에서 상위 5개 업체 중 4곳이 중국 브랜드일 정도로 이들의 영향력은 막강하다. 단순한 제품 판매를 넘어 지정학적 리스크 회피를 위한 종착지로 해외 시장을 공략하며 공급망 재편 시도까지 나서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시장조사기관 글로벌 IDC의 ‘글로벌 스마트 가전 로봇 청소기 시장 분기별 보고서, 2025년 2분기’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 글로벌 로봇 청소기 출하량은 전년 동기 대비 16.5% 증가한 1126만 3000대를 기록했다. 이는 로봇 청소기를 찾는 소비자가 꾸준히 늘고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시장 점유율은 상위권 업체들에게 쏠리는 경향이 뚜렷하다. 2025년 상반기 글로벌 로봇 청소기 시장에서 1위부터 5위까지 업체들의 점유율 합계는 64.8%에 달했다.
이 가운데 주목할 점은 글로벌 TOP 5 업체 중 1위부터 4위까지를 중국 업체들이 휩쓸었다는 사실이다. 1위는 20.7%의 점유율을 기록한 로보락(Roborock)이었으며, 뒤이어 에코백스(ECOVACS, 13.9%), 드리미(Dreame, 12.3%), 샤오미(XIAOMI, 10.1%)가 차례로 이름을 올렸다. TOP 5 중 유일하게 미국 브랜드는 아이로봇(Irobot, 7.9%)뿐이었다.
한국 시장에서도 중국 로봇 청소기의 성장세는 매우 두드러진다. 글로벌 1위 업체인 로보락은 한국 로봇 청소기 시장에서 40% 이상의 압도적인 점유율로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로보락뿐만 아니라 에코백스와 드리미 등 중국 업체를 합치면 전체 시장의 절반 이상을 차지할 정도다. 과거 TV나 냉장고 등 주요 가전제품에서는 국내 브랜드를 선호했던 소비자들이 로봇 청소기에 있어서는 중국 브랜드를 선택하는 경향이 서서히 자리 잡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중국 로봇 청소기의 강점은 합리적인 가격과 뛰어난 기술력에서 비롯된다. 제품 연구 개발에 아낌없는 투자를 지속한 결과, 성능 및 다양한 기능 측면에서 소비자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 중국 로봇 청소기 업체들의 해외 시장 공략이 단순한 제품 판매를 넘어 ‘공급망 재편’ 시도로까지 이어지고 있다고 분석한다. 비록 북미, 유럽, 동남아 등 해외 시장이 중국 내수 시장만큼의 절대적인 규모는 아닐지라도, 청소기 제품의 잠재적 수요가 크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아직 개척할 여지가 많은 시장이라는 것이다. 특히 미주 및 유럽 시장에서는 이들 업체들의 또 다른 주력 제품인 잔디깎이 로봇의 수요가 급성장하고 있다. 넓은 마당과 정원을 가진 이들 국가의 주거 방식을 고려할 때, 스마트화 및 자동화된 기기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관측된다. 실제로 지난 9월 초 독일에서 개최된 국제 가전 전시회 IFA 2025에서는 로보락을 비롯한 중국 로봇 청소기 업체들이 프리미엄 잔디깎이 로봇을 잇따라 선보이며 이러한 시장 변화를 예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