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외 거주 시절, 낯선 한국에 대한 외국 친구들의 호기심을 자극했던 경험은 우리나라를 알리는 ‘공공 외교관’으로서 국민 개개인의 중요성을 일깨워준다. 한류 이전에도 문화적 관심은 낯선 국가로의 방문을 이끌었고, 한국 전통 결혼식을 치르고 싶다는 친구의 요청에 한복 대여를 돕는 작은 행동이 계기가 되기도 했다. 이후 K-문화의 확산과 함께 이제는 그 친구의 자녀들이 한국에 깊은 관심을 보이는 것처럼, 세계 문화에 대한 호기심은 자녀 세대까지 이어져 음식 문화 체험 등 깊이 있는 탐구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국민 개개인의 관심과 참여가 국제사회의 신뢰와 호감을 구축하는 ‘공공 외교’의 근본적인 동력이 된다.
정부 간의 공식적인 외교와는 달리, 문화와 예술을 매개로 국민들이 서로 신뢰와 호감을 쌓아가는 ‘공공 외교’의 가치를 국민이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축제가 올해로 7회를 맞았다. 외교부와 한국국제교류재단(KF)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제7회 공공외교주간’은 지난 9월 8일부터 27일까지 KF 글로벌센터를 비롯해 각국 대사관, 서울광장 등지에서 펼쳐졌다. 이 행사는 우리나라의 공공 외교 현장과 다채로운 문화를 한자리에서 경험할 수 있도록 워크숍, 포럼, 전시, 공연 등 풍성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축제를 통해 참가자들은 서로의 나라를 깊이 이해하게 되고, 이는 곧 국제사회 협력에 기여할 긍정적인 호감과 굳건한 신뢰를 형성하는 중요한 밑거름이 된다.
수많은 프로그램 중에서 딸과 함께 선택한 ‘콜롬비아 스페셜티 커피의 놀라운 세계’ 워크숍은 이러한 공공 외교의 현장감을 생생하게 느낄 수 있는 기회였다. 성인이 된 후 커피를 즐기기 시작한 딸은 콜롬비아 현지 전문가로부터 직접 커피 이야기를 듣는 특별한 경험에 큰 기대를 보였다. 19층 세미나실로 이동하는 발걸음에는 설렘이 가득했다. 테이블마다 놓인 콜롬비아 전통 모자는 행사의 시작을 알리는 흥미로운 장치였다. 잠시 후, 알레한드로 주한 콜롬비아 대사가 직접 나서 콜롬비아 커피의 역사, 중요성, 그리고 커피 농장으로의 여행에 대해 설명했다.
알레한드로 대사는 콜롬비아가 세 개의 산맥을 품고 있으며, 화산재로 비옥해진 토양 덕분에 일 년 내내 커피 재배에 최적의 환경을 갖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손으로 직접 수확하고 100% 아라비카 원두만을 사용하여 부드러운 커피 맛을 완성하며, ‘파넬라’라는 콜롬비아 전통 설탕을 넣어 즐긴다는 이야기는 커피에 대한 깊은 이해를 더했다. 커피가 가정집에서 시작하여 점차 전문화되고, 1·2차 세계대전을 거치며 군수 물자로 수요가 급증했던 역사 또한 흥미로웠다. 현재는 커피 재배 경관이 유네스코 문화유산으로 등재될 정도로 커피 관광이 활성화되어 있으며, 이는 콜롬비아의 중요한 관광 자원이자 문화적 가치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어 강병문 콜롬비아 커피 전문가는 커피 제조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덧붙였다. 특히 콜롬비아의 풍부한 강우량으로 인해 수확기 발효 및 부패 위험을 줄이기 위해 ‘워시드(Washed)’ 방식을 주로 사용한다는 점은 커피의 특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를 파악하게 했다. 직접 커피를 내리는 과정을 시연하며, 참가자들은 두 종류의 콜롬비아 커피를 시음하며 각기 다른 향과 맛을 비교하는 시간을 가졌다. 참가자들은 어떤 커피가 더 고소한지, 어떤 커피가 더 과일 향이 풍부한지에 대해 서로 의견을 나누며 자신에게 맞는 취향을 찾아가는 즐거움을 만끽했다. 같은 커피에서도 저마다 다른 취향을 발견하는 경험은 인간적인 공감대를 형성하는 중요한 순간이었다.
이후 커피 전문가는 콜롬비아가 커피 외에도 한국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음을 강조했다. 6·25 전쟁 당시 파병으로 한국을 도왔던 역사적 사실과 더불어, 한국과 콜롬비아 간 무비자 협정으로 인해 업무상 왕래가 편리하다는 점은 양국 간의 친밀감을 더욱 부각시켰다. 콜롬비아 전통 모자를 쓰고 함께 기념 촬영을 하는 참가자들의 자연스러운 모습에서, 물리적인 거리는 더 이상 국제적인 교류에 큰 장애가 되지 않는다는 확신을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공공외교주간’은 외교부가 내년도 예산안에서 국민 참여형 공공외교 사업 확대와 신기술 활용 디지털 공공외교 강화를 밝힌 정책 방향과도 맥을 같이 한다. 올해 우리나라에서 연이어 개최되거나 예정된 국제 행사들, 그리고 APEC 회의 개최국으로서의 역할은 어느 때보다 민간 외교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공공외교주간’은 단순히 행사를 즐기는 것을 넘어, 국민 스스로가 공공 외교의 주체라는 인식을 제고하고, 지속 가능한 외교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다. 외교는 더 이상 정부만의 영역이 아니며, 국민의 지지와 참여가 뒷받침될 때 비로소 끈끈하고 강력한 국제적 관계를 구축할 수 있다. ‘제7회 공공외교주간’에서 펼쳐진 다양한 프로그램들은 이러한 공공 외교의 진정한 의미를 되새기게 하는 소중한 기회를 제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