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구 생태계의 근간을 이루는 곤충이 기후변화로 인해 심각한 생존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곤충은 물과 토양 정화, 꽃가루 매개, 먹이사슬 유지 등 생태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미래 식량 자원 및 산업 소재로서의 잠재력 또한 지니고 있다. 그러나 급격한 기온 상승은 곤충의 서식지를 파괴하고 개체 수를 감소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곤충의 변화는 인간을 포함한 지구 전체 생태계에 미칠 영향에 대한 강력한 경고로 해석된다.
국립과천과학관은 9월 7일 ‘곤충의 날’을 맞아 9월 2일부터 10월 26일까지 곤충생태관에서 기획전 ‘잠자리를 따라가면 보이는 것들’을 개최하며, 이러한 문제점을 조명하고 있다. 약 4억 년 전부터 지구상에 존재하며 단단한 외골격과 탈바꿈이라는 적응 전략으로 다양성을 확보해 온 곤충은 현재 기후변화라는 거대한 위협 앞에 속수무책으로 놓여 있다. 전시에서는 기후변화로 인해 생존 위기를 겪는 곤충들의 사례를 통해 문제의 심각성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전시에서 소개하는 곤충의 변화 양상은 기후변화 생물지표종 8종을 통해 명확히 드러난다. 먹그림나비, 푸른큰수리팔랑나비, 무늬박이제비나비, 푸른아시아실잠자리와 같은 종들은 더 따뜻한 지역을 찾아 북상하며 서식지를 옮기는 적응력을 보여준다. 반면, 말매미와 넓적배사마귀는 기후변화에 빠르게 적응하며 서식지를 오히려 확장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큰그물강도래와 철써기는 기온 상승에 적응하지 못해 생존 위기에 처해 있으며, 한국 고유종인 한국꼬마잠자리는 수온 상승으로 유충 생존율 감소라는 치명적인 위협에 놓여 있다. 이미 멸종 위기종인 붉은점모시나비의 경우, 먹이 식물 감소로 인해 한반도에서 사라질 위기에 처하며, 고유종인 한국꼬마잠자리는 한반도에서 사라질 경우 전 세계에서도 영원히 사라지게 된다는 점에서 더욱 심각한 문제로 부각된다.
이러한 곤충에 대한 직접적인 위협의 근본적인 원인은 인간의 온실가스 배출로 인한 기후변화다. 온실가스는 지구 온도를 지속적으로 상승시키며, 이는 해수 온도와 해수면 상승으로까지 이어진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인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탄소중립’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국립과천과학관의 기획전 역시 곤충의 위기를 지구 전체의 위기로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인류의 노력을 촉구한다.
전시는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한 구체적인 실천 방안으로 대중교통 이용, 다회용품 사용, 대기전력 차단 등 일상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는 기후 행동을 제시하며 마무리된다. 곤충의 변화를 통해 생태계를 넘어 인간에게까지 영향을 미치는 기후변화의 위협을 인식하고, 우리가 지켜야 할 지구의 미래를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한다. 이번 전시는 10월 26일까지 이어지며, 특히 초등학생 자녀를 둔 가정에 지구의 소중함과 탄소중립의 중요성을 배우는 귀중한 시간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