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와 고금리로 인해 국민들의 생계비 부담이 가중되고, 소상공인과 영세 자영업자들이 운영에 어려움을 겪는 등 경제·민생 현장의 어려움이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국민들의 절박한 목소리를 직접 듣고 정책에 반영하기 위한 행보에 나섰다.
지난 14일 오후, 이재명 대통령은 서울 콘텐츠문화광장에서 국민 패널 110여 명과 함께하는 ‘디지털 토크 라이브-국민의 목소리, 정책이 되다’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국민사서함’에 접수된 민생·경제 분야의 정책 제안을 바탕으로, 국민들이 실제로 겪고 있는 어려움을 공유하고 실질적인 해결 방안을 함께 모색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는 ‘국민주권 실현’과 ‘참여와 소통’을 강조해 온 대통령의 국정 철학을 구체적으로 실천하는 소통의 장이었다.
이날 행사에서는 ‘국민사서함’을 통해 접수된 총 3만 8741건의 제안 중 경제·민생 분야(1만 7062건, 전체의 44%)에 집중하여 심도 있는 논의가 이루어졌다. 특히, ▲소상공인 금융 지원 확대 ▲고물가에 따른 생계비 부담 완화 ▲전통시장 경쟁력 강화 ▲영세 자영업자 운영자금 지원 ▲지역화폐 활성화 등 국민들의 생활과 직결된 핵심 민생 과제들이 주요 토론 주제로 다루어졌다.
이재명 대통령은 모두 발언을 통해 “국민 여러분께서 ‘국민사서함’을 통해 보내주신 소중한 의견들이 오늘 토론의 출발점”임을 강조하며, “고금리와 고물가로 힘든 시기를 보내고 계신 국민 여러분의 절박한 목소리를 무겁게 듣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국민주권정부의 정책은 국민의 삶과 동떨어져서는 안 되며, 현장의 목소리에서 시작해야 한다”는 변함없는 신념을 재확인하며, “오늘 주신 생생한 말씀들을 정책으로 다듬어 국민의 삶에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어내는 것으로 보답하겠다”고 약속했다.
특히, 방송인 홍석천 씨는 자영업자 대표로 참석하여, 천편일률적인 지자체 관광 사업 정책에 대한 비판과 함께 소상공인·자영업자들의 고충을 직접적으로 전달했다. 홍 씨는 “직원과 알바를 위한 정책은 많지만, 사장님들의 고초를 들어주는 부서가 없다”고 지적하며, 지방 관광 예산이 벽화 마을이나 출렁다리, 케이블카 설치에 집중되는 비효율성을 꼬집었다. 그는 이러한 예산의 일부만이라도 지역 창작자들에게 지원된다면 훨씬 효과적일 것이라고 제안했다. 이에 이 대통령은 “어제 수석보좌관회의에서 논의된 내용”이라며 문화산업 육성과 지방의 특색을 살리는 정책 추진 의지를 밝혔다. 또한, 성실 상환자에 대한 이자 혜택 방안 등도 논의하며, 자영업자와 관련된 정책에서 형평성 문제를 고려해야 함을 시사했다.
이날 행사는 ‘1부: 현장의 목소리’와 ‘2부: 대통령의 약속, 국민과의 대화’로 나누어 진행되었으며, 유튜브 이재명TV, KTV 국민방송 등을 통해 실시간으로 생중계되어 더 많은 국민들의 참여와 관심을 이끌어냈다. 대통령실은 이번 행사를 계기로 국민의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하는 디지털 소통을 더욱 강화하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 변화를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국민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더 나은 삶을 보장하려는 정부의 확고한 의지를 보여주며, 앞으로 구체적인 정책 변화를 통해 민생 경제 회복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