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게임 산업이 세계 3위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정책적 전환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10월 15일, 게임업체 ‘크래프톤’의 복합 문화 공간인 ‘펍지 성수’를 방문하여 ‘세계 3위의 게임강국으로 레벨업’이라는 주제로 현장 간담회를 주재했다. 이는 대통령이 직접 게임 산업 현장을 찾아 업계의 목소리를 듣고 미래 비전을 논의한 첫 번째 자리였다.
이번 간담회는 게임 산업이 처한 현실과 미래 성장 가능성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를 위해 마련되었다. 대통령실 강유정 대변인은 이번 행사가 게임사 대표, 게임 음악 및 번역 전문가, 청년 인디게임사 대표, 게임인재원 학생 등 다양한 업계 관계자들의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하고자 기획되었다고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은 간담회 시작에 앞서 인공지능(AI) 기반 인생 시뮬레이션 게임인 ‘인조이’를 직접 체험하며 게임 콘텐츠에 대한 높은 관심을 드러냈다. 대통령은 게임 내에서의 활동에 대한 질문을 던지며 콘텐츠의 몰입도와 현실 경제와의 연관성을 파악하려는 의지를 보였다.
이재명 대통령은 간담회에서 대한민국을 세계적인 문화산업 국가로 만들겠다는 비전을 제시하며, 게임 분야가 이러한 문화산업의 핵심적인 부분을 담당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통령은 “게임에 대한 인식과 마인드 셋이 바뀔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며, 게임에 대한 몰입도가 단순히 오락을 넘어 산업적 가치로 재인식되고 이에 대한 지원이 확대되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더 나아가 이러한 산업적 지원이 국부 창출과 일자리 마련의 기회로 이어질 수 있음을 분명히 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게임 업계가 지속적으로 요구해 온 ‘탄력적 노동시간 운영’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도 이루어졌다. 이재명 대통령은 해당 사안에 대해 “양면이 있다”고 언급하며, 개발자와 사업자의 요구와 더불어 고용된 노동자들이 소모품처럼 여겨져서는 안 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대통령은 정책 결정 과정에서 노동자들의 의견 역시 중요하게 반영되어야 하며, 이는 정책 판단의 문제로서 지혜로운 해결책을 모색해야 한다고 밝혔다.
간담회에 참석한 업계 관계자들은 다양한 의견을 개진하며 게임 산업의 진흥 방안을 제시했다.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는 주변국과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도 AI 기술을 통해 작은 회사들의 창의력이 증대될 기회가 생기고 있음을 언급하며, 게임 산업의 진흥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정욱 넥슨 대표는 게임이 전략 품목으로 지정되어야 하며, 혁신을 통한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해 사회적 인식 개선이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인디게임 업체 원더포션의 유승현 대표는 “작은 규모의 지원이라도 보다 많은 팀들에게 제공되면 효과적일 수 있다”며 지원 방식의 다각화를 제안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참석자들과 함께 노동시간 집약적인 작업 방식, 문화 콘텐츠 수출에서 게임이 차지하는 비중, 미래 성장 가능성, 원작 저작권 확보 및 멀티 유즈(다양한 콘텐츠로의 확장) 가능성 등을 꼼꼼하게 논의했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지원 확대 및 규제 완화의 필요성에 대한 깊이 있는 토론이 격의 없이 이루어진 것으로 전해졌다. 이러한 논의들을 바탕으로 대한민국 게임 산업이 현재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글로벌 게임 강국으로서의 위상을 확고히 다질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