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을의 문턱에 들어서며 찾은 오두산 통일전망대는 굽이진 길과 경비 초소, 철조망으로 둘러싸인 풍경 속에서 ‘휴전국’이라는 현실을 다시금 각인시키는 장소였다. 임진강과 한강이 만나는 푸른 하늘 아래, 망원경으로 바라본 북한 개성의 일상은 분단의 아픔과 통일의 간절함을 동시에 느끼게 했다. 이는 단순한 나들이를 넘어 ‘안보 견학’으로서, 통일 문제가 더 이상 나와 무관한 먼 이야기가 아님을 생생하게 증명하는 순간이었다.
전망대 1층과 2층의 전시실은 분단 역사를 돌아보고 현재를 짚으며 통일의 미래를 제시한다. 특히 2층 ‘그리운 내 고향’ 전시실에는 실향민들이 그린 5,000여 점의 고향 그림이 전시되어 북녘 땅에 대한 그리움을 섬세하게 담아냈다. 3층으로 향하는 길목에 놓인 ‘통일의 피아노’는 2015년 광복 70주년을 기념하여 DMZ 철조망을 피아노 현으로 제작한 작품으로, 분단의 상징을 예술로 승화시킨 의미를 지닌다. 전시실 곳곳에는 분단 역사, 6.25 전쟁 자료, 남북 교류 관련 전시가 소개되어 있으며, 영상실에서는 통일 교육 다큐멘터리가 상영되어 관람객들의 이해를 돕는다.
야외 전망대에 서면 개성 시내와 북한 마을의 논밭, 건물이 육안으로 선명하게 보인다. 멀리 떨어진 듯해도 불과 몇 킬로미터 되지 않는 거리에서 주민들의 일상을 엿볼 수 있다는 것은 ‘가깝지만 먼 나라’라는 분단의 아이러니를 실감하게 한다. 서울 도심에서 차로 약 한 시간 남짓이면 도착할 수 있어 접근성이 뛰어나며, 연간 약 100만 명의 국내외 관광객이 방문하는 인기 있는 안보 견학지이다. 이러한 오두산 통일전망대가 단순한 장소를 넘어, 분단의 현실과 통일의 가능성을 동시에 느낄 수 있는 살아있는 현장으로 기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보이는 통일’의 중요성을 더욱 확산시키기 위해, 최근 발표된 2026년 통일부 예산안은 주목할 만한 변화를 보여준다. 지난해보다 약 20% 이상 증액된 1조 2,378억 원 규모의 예산은 남북협력기금 1조 25억 원을 포함하여 인도적 지원, 경제 협력 사업, 문화 교류 및 국민 공감 프로젝트에 배분된다. 특히 체험 사업, 민간 통일운동, 통일 문화 교육 등이 신규로 포함되면서, 국민들이 통일 관련 정책을 더욱 ‘보고, 느끼는’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2026년 예산은 크게 네 가지 분야로 나뉜다. 첫째, <인도적 문제 해결>에 약 6,810억 원이 책정되어 이산가족 지원과 구호 활동에 집중한다. 둘째, <경제협력 기반 조성>은 교류 협력 보험, 경제협력 대출 등을 포함하여 남북 교류 재개 시 활용될 토대를 마련한다. 셋째, <사회문화 교류>는 남북 간 문화·체육 교류, 민간 교류 사업 등을 소규모로 반영한다. 마지막으로 <국민 공감 확대> 분야는 통일 문화 체험, 민간단체 지원, 사회적 대화 프로그램 등을 통해 통일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는 데 주력한다.
흥미로운 점은 이러한 예산 항목들이 단순한 ‘정책 사업’에 그치지 않고, 국민들의 ‘체감’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국민 공감 사업은 오두산 통일전망대나 DMZ 탐방과 같은 현장 체험과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정부 예산이 곧 국민이 통일 문제를 ‘체험’할 기회를 넓히는 자원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더불어 오두산 통일전망대 이용객에게 DMZ 생생누리 방문 시 입장료를 반액 할인해주는 ‘DMZ 연계할인’은 이러한 체험 연계를 더욱 강화하는 요소이다.
오두산 통일전망대에서 바라본 북한 너머의 풍경은 통일·안보 정책이 단순한 정부 문서 속 숫자가 아님을 다시 한번 일깨워주었다. 2026년 통일부 예산안은 증액된 규모와 신규 사업들을 통해 국민의 삶 속에서 통일에 대한 생각을 어떻게 형성해 나갈 것인지에 대한 기대를 갖게 한다. 그러나 예산이 책상 위에서만 머무르지 않고 실질적인 ‘체감 정책’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집행 가능성, 남북 관계의 흐름, 주민과 민간단체의 참여, 지역 인프라 정비 등 다각적인 노력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화창한 날씨 속 청명한 하늘 아래 통일의 가능성을 상상하게 하는 오두산 통일전망대처럼, 예산이 이러한 공간들을 지원하는 힘이 되어 ‘보이는 통일’을 넘어 ‘체감되는 통일’로 나아가기를 기대한다.
◆ 오두산 통일전망대 정보
위치: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필승로 369
입장료: 무료 (2024.1.1.부터 시행)
관람 시간: 10:00~17:00 (입장 마감 16:30 / 평일, 토, 일, 국공휴일)
7~9월 (하절기 기간) 관람 시간 연장: 09:30 ~17:30 (입장 마감 :17:00)
매주 월요일 휴관, 2025 추석 연휴 기간 10월 3일 (금) ~12일 (일) 휴관일 없이 정상 운영
오두산 통일전망대는 개관 시간 중 출입은 자유로우나 민통선 북방 군사 작전지역으로 기상 및 기타 상황에 따라 종료 시간이 유동적일 수 있으니, 종료 직전 방문 시 전화 문의가 권장된다.
주간, 개관 시간: 031-956-9600
야간, 휴관일 등: 031-956-9661
자세한 사항은 오두산 통일전망대 누리집(jmd.co.kr)을 참고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