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유재성 경찰청직무대행 등이 15일 서울 종로구 KT 광화문빌딩 WEST에 마련된 범정부 합동 전기통신 금융사기 통합대응단 개소식에 현판 제막을 하고 있다.
보이스피싱 범죄가 갈수록 지능화·고도화되면서 피해 예방과 신속한 대응을 위한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기존의 상담 위주 대응 방식으로는 늘어나는 범죄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데 한계가 있었으며, 통신·금융 분야 전반에 걸쳐 발생하는 보이스피싱 범죄의 특성상 여러 기관의 긴밀한 협력이 절실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경찰청은 ‘전기통신금융사기 통합대응단(이하 통합대응단)’을 공식 출범시키고, 보이스피싱 피해 신고만으로도 차단과 수사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통합 대응체계를 구축했다.
이번 통합대응단의 출범은 이재명 대통령의 보이스피싱 문제 해결을 위한 종합대응방안 마련 지시에 따라 국무총리실 주관으로 수립된 ‘보이스피싱 근절 종합대책’의 핵심적인 후속 조치다. 2025년 10월 15일 서울 종로구 KT 광화문빌딩에서 개최된 개소식에는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윤창렬 국무조정실장, 유재성 경찰청장 직무대행을 비롯해 통신·금융 관련 기업 및 협회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하여 보이스피싱 대응을 위한 적극적인 협력을 다짐했다. 통합대응단에는 금융위원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금융감독원, 금융보안원 등 주요 기관에서 파견된 인력이 함께 근무하며 실질적인 범정부 협업의 중심 역할을 수행한다.
새롭게 구축된 통합 대응체계는 신고접수 즉시 추가 피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금융기관 및 통신사와 직통 회선을 연결하는 것을 포함한다. 통합대응단은 정책협력팀, 신고대응센터, 분석수사팀으로 구성되어, 상담부터 분석, 차단, 수사, 그리고 정책 반영까지 전 과정을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대응 시스템을 갖춘다. 신고대응센터는 연중무휴 24시간 운영체제로, 112 등으로 접수된 보이스피싱 신고·제보에 대해 전문적인 상담을 제공하며 계좌 지급정지, 소액결제 차단, 악성 앱 삭제 등 피해 예방 조치를 통합적으로 처리한다. 분석수사팀은 접수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전화번호 이용 중지 등 추가 피해 확산을 막는 조치를 취하고, 전국 시도경찰청 전담수사대 및 관계기관과의 정보 공유를 통해 범인 검거와 범죄 수단 차단에 주력한다. 정책협력팀은 각 기관 파견 인력과 함께 유기적인 협업체계를 구축하여 법령·제도 개선, 정책 반영, 외국 기관과의 협력 등을 추진함으로써 범행 사전 차단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한다.
특히 최근 캄보디아 등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발생하고 있는 보이스피싱 범죄 조직에 의한 한국인 감금 사건과 같은 신종 범죄에 대응하기 위해, 통합대응단을 중심으로 국제 공조 및 대응을 강화할 방침이다. 개소식에서는 전기통신금융사기 근절 협업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도 체결되었다. 총 15개 정부·공공기관 및 민간 기업·협회가 참여한 이번 협약은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과 범죄 근절을 위한 협력과 지원을 더욱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유재성 경찰청장 직무대행은 “보이스피싱은 단순한 범죄를 넘어 국가적 위협으로 진화하고 있다”며, 통합대응단을 중심으로 관계기관이 힘을 모아 실질적인 피해 감소 효과를 내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각오를 밝혔다. 윤호중 행안부 장관 역시 통합대응단 출범이 보이스피싱 대응의 새로운 전환점이 되기를 기대하며 필요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윤창렬 국조실장은 범정부 차원의 통합대응단 가동이 각 부처와 기관의 협력 덕분이라며, 국무조정실 차원에서도 통합대응단이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꼼꼼히 챙기겠다고 덧붙였다. 이러한 통합 대응체계 구축과 관계기관의 협력이 보이스피싱 범죄로 인한 국민들의 경제적, 심리적 피해를 크게 줄여줄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