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경제 상황이 불확실한 가운데 내수 시장의 침체와 소상공인들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소상공인의 매출 증진과 내수 소비 활성화를 목표로 기획된 ‘동행축제’가 얼마나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지난 9월에 진행된 ‘동행축제’는 이러한 우려 속에서 시작되었으나, 총 6634억 원이라는 주목할 만한 매출을 기록하며 침체된 내수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러한 성과는 단순히 일회성 행사를 넘어, 다양한 채널을 통해 소비를 촉진하려는 정부의 노력이 결실을 맺었음을 보여준다.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지난 9월 동행축제 기간 동안 온라인 판매전에서 6307억 원, 오프라인 판매전에서 327억 원의 직접 매출이 발생했다. 더불어 온누리상품권 4856억 원, 지역사랑상품권 2412억 원의 판매는 소비 여력을 확대하며 내수 시장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동행축제는 온·오프라인을 아우르는 전국 단위의 소비 촉진 행사로서, 민생회복소비쿠폰 지급과 더불어 소비 분위기 확산을 위한 전국적인 연계 행사 및 다채로운 이벤트로 구성되었다. 온라인 판매전에는 2만 7000여 개 사가 참여하여 6307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 특히 롯데온의 ‘동행제품100’ 기획전에서는 동아식품의 김가네 식탁 감자탕이 전년 동기 대비 26배(6700만 원) 증가하는 등 뛰어난 성과를 보였고, 호정식품의 옛날 도나스 역시 13배(6200만 원) 이상 매출이 늘며 온라인 판로 확대의 성공 사례를 제시했다. 쿠팡의 동행제품100 기획전에서도 다정한 마켓의 반려동물 간식껌이 6400만 원, 부쉬맨의 워터프루프 선크림이 6000만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상품성을 입증했다.
오프라인 판매전 역시 144곳의 지역 행사와 정책 매장을 통해 327억 원의 매출을 달성하며 소비 회복에 기여했다. 전국적인 소비 회복과 소상공인 활력 제고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비수도권 지역과 인구감소 지역의 행사 비중을 확대했으며, 전체 행사 중 비수도권이 76%, 인구감소지역이 24%를 차지했다. 제주 개막식 행사는 APEC중소기업장관회의 연계 행사로 1만 8000명이 방문하는 등 성황리에 마무리되었으며, 제주 지역 소상공인 51개 사가 참여한 판매전에서 8500만 원의 매출을 올렸다. 롯데백화점(잠실점) 상생판매전에서도 50개 소상공인 업체가 참여해 1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대기업과 소상공인, 전통시장이 함께 성장하는 선순환 구조 마련에 기여했다.
이 외에도 전통시장 및 소상공인 매장의 소비 촉진을 위한 상생소비복권, 7개 TV홈쇼핑사의 상생기획전 및 경품 이벤트, 7개 카드사의 캐시백 및 할인 혜택 강화 등 민간 기업 주도의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가 골목상권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배달의민족은 제주 지역 할인쿠폰 발급과 더불어 집중호우 피해 지역 가게를 위한 추가 할인쿠폰을 제공하며 소외된 지역 상권 회복을 지원했다.
최원영 중기부 소상공인정책실장은 “따뜻한 소비는 소상공인에게 작은 희망의 불씨가 되고 우리 경제에는 힘찬 숨결을 불어넣는다”고 말하며, 정부는 앞으로도 기존 할인 축제를 통합한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10월 29일~11월 9일)과 같이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소비 혜택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9월 동행축제의 성공적인 개최는 앞으로 다가올 대규모 할인 축제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며, 소상공인과 내수 시장에 지속적인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