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이 2025년 3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3% 성장하며 성장 모멘텀을 회복했다. 이는 올해 초 시장 침체에서 벗어나 뚜렷한 반등세를 보인 결과로 분석된다. 시장조사업체 옴디아(Omdia)의 최신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회복세는 강력한 소비자 교체 수요와 다가오는 25년 4분기 성수기를 앞두고 채널 전반에 걸친 재고 확충 노력에 힘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시장 성장을 견인한 주요 요인 중 하나는 주요 제품들의 성공적인 출시였다. 특히 애플은 아이폰 17 시리즈의 출시와 함께 출하량이 4% 증가하며 18%의 시장 점유율을 확보, 역대 가장 강력한 3분기 실적을 기록했다. 아이폰 17 시리즈는 기본 모델에도 ‘120㎐ 주사율 프로모션’ 기능과 업그레이드된 카메라 사양을 탑재하여 전작 대비 판매량을 대폭 확대시킨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애플이 기술 혁신과 브랜드 충성도를 유지하는 핵심 요인으로 작용했다.
삼성전자는 19%의 시장 점유율로 3분기 연속 1위를 유지했다. 업그레이드된 7세대 폴더블 시리즈와 갤럭시 A 라인의 강세가 삼성전자의 선두 자리 유지에 주요한 역할을 했다. 이 외에도 샤오미(14%), 트랜션(9%), 비보(9%)가 글로벌 상위 5개 공급업체에 이름을 올렸다. 특히 트랜션은 아프리카와 중동 시장의 수요 회복세에 힘입어 전년 대비 두 자릿수 성장을 달성하며 시장 내 입지를 다졌다.
이번 시장 반등은 소비자들의 스마트폰 교체 주기가 도래하면서 나타난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해석된다. 또한, 주요 제조사들의 신제품 출시 전략이 성공을 거두면서 소비 심리를 자극하는 데 기여했다. 아이폰 17 시리즈의 기본 모델 사양 대폭 개선은 소비자들이 새로운 기기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옴디아 리서치 매니저 르 슈안 츄는 소비자 교체 수요의 회복이 시장 전반의 반등을 이끌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동시에 원자재 비용 상승과 치열한 경쟁으로 인한 수익성 악화는 여전히 업계 전반의 과제로 남아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 제조사들은 구독 서비스, 액세서리, 그리고 생태계 중심의 수익 모델 다변화를 통해 수익성 개선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노력들이 지속된다면,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은 장기적인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