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서울 광진구의 한 유치원에서 서울시 특별점검반이 긴급 위생점검을 점검하고 있다. 최근 경기 안산시의 한 유치원에서 장출혈성대자균감염증 집단발병이 발생하는 등 아동 급식시설에서 식중독 사고 위험이 높아지면서 서울시는 시내 유치원·어린이집 급식소 2704곳을 대상으로 특별점검에 나섰다. 2020.7.8/뉴스1
어린이집 내 집단급식소의 위생 관리 부실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면서,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가 오는 13일부터 31일까지 전국 어린이집 3800여 곳을 대상으로 대대적인 위생관리 실태 점검에 나선다. 이는 어린이들의 건강과 직결되는 급식 환경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앞서 식약처는 올해 상반기 전국 어린이집 집단급식소 6536곳을 점검했으며, 이번 추가 점검을 통해 총 1만 300여 곳에 대한 전수 조사를 마무리할 계획이다. 상반기 점검 결과, 총 11곳의 어린이집에서 식품위생법 위반 사항이 적발되어 해당 지자체에 행정 처분을 요청한 바 있다. 이러한 적발 사례는 여전히 어린이집 급식 위생 관리에 개선의 여지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번 집중 점검에서는 소비기한이 지난 제품을 사용하거나 보관하는 행위, 보존식을 제대로 보관하지 않는 경우, 그리고 식품 자체뿐만 아니라 조리실 등 급식 시설 전반의 위생 관리 여부 등이 주요 점검 항목으로 포함된다. 또한, 단순히 서류상 점검에 그치지 않고, 실제 조리된 식품과 급식 조리 도구를 수거하여 식중독균 오염 여부를 정밀 검사함으로써 잠재적인 위험 요소를 사전에 차단할 방침이다.
뿐만 아니라, 식약처는 식중독 발생 시 심각한 피해를 초래할 수 있는 노로바이러스 예방 및 확산 방지를 위한 교육도 병행한다. 어린이집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올바른 손 씻기 방법과 노로바이러스 환자의 구토물 처리 절차 등에 대한 교육과 홍보를 실시하여, 집단급식소 내 감염병 확산을 막는 데 총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식약처는 이번 점검과 교육을 통해 어린이집 집단급식소의 전반적인 위생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리고, 궁극적으로는 아이들이 안심하고 건강하게 급식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향후에도 어린이 급식 안전망 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관리와 교육을 이어나갈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