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 이후 우리 문학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졌지만, 문학이 지닌 사회적 연대와 정서적 치유의 가치가 오히려 희미해지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2025 대한민국 문학축제’가 우리 문학의 저변을 확대하고, 문학의 본질적 가치를 확산시키기 위한 야심찬 시도로 출범했다. 올해 처음으로 개최되는 이번 축제는 ‘서울국제작가축제’, ‘문학주간’, 국립한국문학관 특별전, ‘문학나눔’ 사업 등 국내 유수의 문학 행사들을 한데 아우르는 통합적인 행사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깊다.
이번 문학축제의 핵심은 단순히 문학 작품을 소개하는 것을 넘어, 문학이 우리의 삶과 어떻게 연결되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데 있다. 특히 ‘문학주간 2025’는 ‘도움―닿기’라는 주제를 통해 문학이 우리 삶의 다양한 균열을 비추고, 서로의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구름판’ 역할을 할 수 있기를 희망하고 있다. 이는 바쁜 일상 속에서 잠시 멈춰 숨을 고르고, 타인의 삶에 기대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겠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축제의 일환으로 진행된 ‘문학주간 2025’의 주제 스테이지 <읽고 만나고 쓰는 마음>에서는 글쓰기에 대한 실질적인 조언들이 쏟아져 나왔다. 작가들은 “때로는 가장 수치스러운 것을 써야 글이 살아난다”거나 “문장이 삶으로 증명 가능한지 자문해 보라”는 말로 글쓰기가 단순한 기술이 아닌 자기 고백이자 용기임을 강조했다. 또한, “예술가가 아니라 전달자라는 위치에서 글을 써 보라”는 조언은 창작의 부담을 덜어주며, 글쓰기가 결국 자신의 울타리를 넘어 다른 세계와 만나는 통로임을 일깨워주었다. 이러한 강연은 글을 쓰는 사람뿐만 아니라 독자들에게도 깊은 울림을 선사하며 문학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
비록 야외 프로그램 중 일부가 우천으로 취소되는 아쉬움도 있었지만, 실크스크린 책갈피 만들기 같은 체험 프로그램은 참여자들에게 특별한 즐거움을 선사했다. 직접 만든 책갈피는 축제의 추억을 간직하게 하는 소중한 기념품이 되었다. ‘2025 대한민국 문학축제’는 첫 회라는 상징성과 더불어 전국 각지의 도서관, 서점, 문학관에서 동시다발적으로 펼쳐지는 다채로운 프로그램들을 통해 생활 속 문학 축제로서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전시, 공연, 체험 프로그램은 물론 국내외 작가 초청 행사, 토크와 낭독 무대, 독서대전 등 풍성한 문화 일정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2025 책 읽는 대한민국’ 사업과 연계하여 9월 말 서울어린이대공원에서 북토크, 공연, 전시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선보일 예정이며, 필자가 거주하는 고양시에서도 10월 ‘2025 고양독서대전’이 열리고 9월 독서의 달을 맞아 지역 도서관에서 다채로운 행사가 진행되는 등 전국적으로 문학 축제의 열기가 고조되고 있다. 문학은 단순히 책장에 꽂힌 책 속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능동적으로 읽고, 만나고, 쓰며 함께 즐길 때 진정한 힘을 발휘한다. 이번 ‘2025 대한민국 문학축제’가 시민들이 가까운 도서관과 문학 프로그램에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책 읽는 즐거움 속에서 서로의 삶을 나누는 소중한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