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여름, 연일 지속된 폭염과 폭우로 인해 몸과 마음이 지쳐 일상에 활력을 잃기 쉬운 시기다. 여행을 떠나기 어려운 상황에서, 서울 마포구에 위치한 독립 서점 ‘가가77페이지’는 이러한 시대적 어려움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며 ‘길 위의 인문학’ 사업의 일환으로 <영화로 보는 인문학>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단순한 정보 전달을 넘어, 친숙한 영화를 통해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인문학적 주제를 탐구하고 참여자들의 생각의 밭을 넓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매년 전국 도서관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온 ‘길 위의 인문학’ 사업이 올해는 독립 서점에서도 개최된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가가77페이지는 SNS를 통해 ‘길 위의 인문학’ 신청자를 모집했으며, <영화로 보는 인문학>이라는 주제로 7월 21일(월)부터 총 10회에 걸쳐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이는 일상의 반복에서 벗어나 새로운 경험을 추구하는 이들에게 양질의 콘텐츠를 경험할 기회를 제공한다.
가가77페이지의 이상명 대표는 인문학의 궁극적인 목적을 ‘생각할 수 있는 생각의 밭과 이해할 수 있는 마음의 밭을 넓히는 것’으로 정의한다. 이를 위해, 선정된 영화들은 12세 이상(일부 15세 이상)이 관람 가능하도록 하여 폭넓은 참여를 유도하고 있으며, 영화와 관련된 철학, 문학 서적 등을 통해 깊이 있는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커리큘럼을 구성했다. 이지혜 영화평론가와 이인 작가가 공동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참여자들은 각자의 경험과 생각을 공유하며 인문학적 사유를 확장하는 시간을 갖는다.
실제로 1회차 프로그램에서는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를 상영한 후, 자아 탐구와 교육의 본질이라는 주제에 대해 깊이 있는 강연과 토론이 이루어졌다. 참여자들은 각자 활동지에 자신의 생각을 기록하고 공유하며, 영화 속 키팅 선생의 “카르페 디엠(현재를 즐겨라)”과 같은 메시지를 통해 삶의 의미를 되새기는 시간을 가졌다. 박근주 씨는 “단순히 영화와 책을 감상하는 것을 넘어, 인문학적 사유를 삶에 연결하고 싶었다”며, “일상의 반복에서 벗어나 다른 참여자들과 소통하며 삶에 리듬감을 느끼고 싶다”고 프로그램 참여 소감을 밝혔다.
이상명 대표는 ‘길 위의 인문학’ 사업이 주는 의미에 대해 “매주 월요일 저녁이 기다려진다. 참여하는 많은 분들을 만날 수 있기 때문”이라며, 인문학은 사고와 마음의 밭을 만드는 중요한 학문이며, 서점이야말로 복합문화공간으로서 문화의 많은 것들을 담고 즐길 수 있는 최적의 장소라고 강조했다. 또한, AI 시대에도 인문학의 중요성은 더욱 커질 것이라며, AI 활용의 효율성과 합리성을 넘어 도덕적 사고를 가능하게 하는 근간이 인문학에 있다고 분석했다.
‘길 위의 인문학’ 사업은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한국도서관협회가 공동 주관하며 ‘우리 동네에서 인문학을 만나다’라는 표어를 내세우고 있다. 이는 인문학과 지역문화, 책과 길, 저자와 독자, 공공도서관과 지역 주민이 만나 새로운 독서 문화의 장을 만들어가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가가77페이지에서 진행되는 <영화로 보는 인문학> 프로그램은 이러한 사업의 취지를 성공적으로 구현하며, 전국 곳곳에서 펼쳐질 다양한 인문학 프로그램에 대한 기대를 높이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참여자들은 지친 일상 속에서 벗어나 자신을 성찰하고 삶의 의미를 되새기며, 더 나아가 지역 서점이라는 공간의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