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립극장이 ‘창극 중심 세계 음악극 축제’를 개최하며 한국 전통 음악극인 창극을 세계 무대에 선보이고 있다. 9월 3일부터 28일까지 약 한 달간 진행되는 이번 축제는 ‘동아시아 포커싱(Focusing on the East)’을 주제로, 한국, 중국, 일본 3국의 전통 음악 기반 음악극 총 9개 작품을 선보이며 동아시아 음악극의 현재와 미래를 조망한다. 이는 단순히 작품을 소개하는 것을 넘어, 문화 교류의 장을 마련하고 한국 창극의 세계화를 모색하려는 국립극장의 야심찬 시도이다.
축제의 시작을 알린 개막작은 국립창극단의 신작 <심청>이었다. 고전소설 ‘심청전’을 바탕으로 하지만, 요나 김 연출가는 효녀 심청을 억압받는 사회적 약자를 대변하는 인물로 재해석하며 신선함을 더했다. 이는 전통 판소리의 깊이를 유지하면서도 현대적인 시각으로 창극을 풀어내려는 국립창극단의 노력을 보여준다. <심청>을 시작으로 축제는 4주간 해외 초청작 3편, 국내 초청작 2편, 국립극장 제작 공연 4편 등 총 9개 작품으로 23회에 걸쳐 관객들을 만난다.
이번 축제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해외 초청작들의 면면이다. 특히 홍콩의 월극 <죽림애전기>는 중국 전통극의 정수를 보여주며 관객들의 이목을 사로잡았다. <죽림애전기>는 위나라 말기에서 진나라 초기를 배경으로 ‘죽림칠현’ 후손들의 삶을 그린 작품으로, 2023년 홍콩 아츠 페스티벌에서 호평받은 바 있다. 가면을 쓴 배우들이 선보이는 노래, 춤, 연기에 무술까지 더해진 무대는 관객들에게 동아시아 전통극의 매력을 생생하게 전달했다. 이 작품을 관람하기 위해 홍콩에서 단체 관광객이 방문하는 등, ‘문화 관광’의 형태로도 주목받고 있다.
축제 현장에서는 다양한 관객들의 목소리를 통해 문화 교류의 의미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에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 호곤 씨는 <죽림애전기> 공연을 보며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밝혔다. 그는 <죽림애전기>가 가정과 국가라는 두 가지 측면을 섬세하게 그려냈으며, 전통 문화 원형에 현대적인 기술이 더해진 점을 높이 평가했다. 또한, 그는 이번 축제가 한국 문화정책의 다양성과 포용성을 잘 보여주는 훌륭한 행사라고 말하며, 창극을 중심으로 월극, 노극 등이 어우러져 다채로운 문화 교류의 장을 이루고 있음에 감탄했다. 호곤 씨는 한국 유학을 통해 한국 문화 콘텐츠 제작자들이 세계화된 시각과 문화 수출 의식을 가지고 있으며, 선진국의 장점을 흡수하여 전 세계로 확산시키는 점을 한국 문화의 특징으로 꼽았다. 그는 향후 한중 문화 교류 사업에 참여하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국내 초청작인 <정수정전> 역시 여성 서사를 판소리와 민요를 통해 풀어내며 깊은 울림을 선사했다. 조선 말, 남녀가 유별했던 시대에 여성으로서의 한계를 극복하고 자신의 이름으로 당당하게 살아가고자 남장을 하고 과거 시험에 응시하는 정수정의 이야기는 당시 여성들의 애환을 엿볼 수 있게 한다. 특히 이 작품은 작가, 감독, 배우가 참여하는 공동 창작 방식을 통해 제작되었으며, “모든 것의 중심에 너를 두거라”라는 대사를 통해 주체적인 삶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번 ‘세계 음악극 축제’는 ‘동아시아 포커싱’이라는 첫 번째 주제를 통해 동아시아 3개국 전통 음악극의 과거, 현재, 미래를 탐구하는 데 집중했다. 국립극장 프로그램 외에도 광주아시아문화전당, 국립민속국악원 등 다양한 기관과의 연계 공연이 준비되어 있어, 축제의 의미를 더욱 풍성하게 만들고 있다. 국립극장은 앞으로도 다양한 해외 작품 초청과 국내외 단체와의 협업을 통해 ‘세계 음악극 축제’를 전 세계 다채로운 음악극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글로벌 축제로 확장해나갈 계획이다. 축제 기간 동안 관람객들을 위한 ‘부루마블’ 이벤트 등 다채로운 즐길 거리도 마련되어 있어, 축제의 흥미를 더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