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년 9월 셋째 주 토요일, ‘청년의 날’을 전후로 전국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청년들의 권리 증진과 자립,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다채로운 행사들이 개최된다. 올해 역시 9월 20일부터 26일까지 일주일간 전국적으로 ‘청년주간’이 운영되며, 과거에는 다소 딱딱하고 참여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편견이 있었던 청년의 날 행사가 이제는 청년들이 실질적으로 공감하고 고민할 만한 주제들을 다루는 폭넓은 프로그램으로 구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곧, 현재 우리 사회가 청년들이 겪고 있는 다양한 어려움과 고민에 주목하고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있다는 방증이다.
과거에는 청년 정책이나 관련 행사 정보를 얻는 것이 쉽지 않았으나, 이제는 각 지방자치단체의 누리집에 게시되는 ‘청년정책’ 또는 ‘청년센터’ 메뉴, 지자체 공식 SNS 채널을 통해 비교적 손쉽게 관련 소식을 접할 수 있다. 또한, ‘청년몽땅정보통’ 누리집에서 ‘청년의 날’을 검색하거나 ‘청년의 날 + 지역명’으로 정보를 탐색하는 방법도 유용하다. 올해 역시 로이킴 공연이 포함된 순천의 <청년의 날 X 주말의 광장> 행사, 개그우먼 김영희 토크콘서트와 안성 청년가왕 행사를 아우르는 안성시 <안성청년 쉴래말래?> 축제와 같이 지역별 특색을 살린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준비되어 있어, 청년들은 자신의 관심사에 맞는 행사를 찾아 참여할 수 있다.
이러한 청년의 날 행사에 참여하는 것은 단순히 시간을 보내는 것을 넘어, 진로에 대한 막막함이나 치열한 경쟁 속에서 겪는 불안감을 해소하고 새로운 영감을 얻는 기회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울 은평구에서 열린 ‘은평청년톡톡콘서트’에서는 미디어 분야를 준비하는 청년들에게 큰 울림을 준 김태호 PD의 강연이 진행되었다. 그는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 속에서 콘텐츠를 기획하고 전달하는 방법에 대해 심도 깊은 이야기를 나누었으며, 많은 청년들이 공감하며 소통하는 장이 되었다. 특히, 이번 강연에서는 수어 통역이 제공되어 정보 접근성을 높이고 모든 청년이 평등하게 참여할 수 있도록 배려한 점은 높이 평가할 만하다. 이는 청년들이 겪는 어려움을 다각적으로 인지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실질적인 지원과 포용적인 환경을 조성하려는 정책적 노력이 반영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청년의 날’ 행사는 현재를 살아가는 청년들이 잠시 멈춰 서서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는 매우 소중하고 의미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넘쳐나는 고민과 불안 속에서 길을 잃기 쉬운 청년들에게, 각 지역에서 열리는 다양한 행사들은 긍정적인 에너지를 충전하고 개인적인 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 발판이 될 것이다. 이러한 행사들이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더 많은 청년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청년들이 겪는 어려움이 점차 해소되고 밝은 미래를 설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