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수 시장의 활력이 침체된 상황 속에서 ‘9월 동행축제’가 6634억 원이라는 역대급 매출을 기록하며 경제 회복에 대한 기대를 높이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지난 9월 한 달간 진행된 이번 행사는 단순히 소비를 촉진하는 것을 넘어, 지역 상권과 소상공인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며 그 의미를 더했다.
이번 동행축제의 성공은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먼저, 온라인 판매전은 6307억 원이라는 압도적인 매출을 기록하며 온라인 유통 채널의 저력을 보여주었다. 특히, 롯데온의 ‘동행제품100’ 기획전에서는 동아식품의 김가네 식탁 감자탕이 전년 동기 대비 26배, 호정식품의 옛날 도나스가 13배 이상 매출이 증가하는 등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이는 온라인 판로 확대가 소상공인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쿠팡에서 진행된 기획전 역시 다정한 마켓의 반려동물 간식껌과 부쉬맨의 워터프루프 선크림이 각각 6400만 원, 6000만 원의 매출을 올리며 효자 상품으로 자리매김했다.
오프라인 판매전 또한 327억 원의 매출을 달성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했다. 이번 축제는 전국적인 소비 회복과 소상공인 활력 제고를 목표로 삼았던 만큼, 비수도권 지역과 인구감소 지역의 행사 비중을 대폭 늘렸다. 전체 144곳의 오프라인 행사 중 비수도권이 76%를 차지했으며, 인구감소지역에서도 24%의 행사가 열렸다. 이는 대도시 중심의 소비가 아닌, 전국 곳곳의 소상공인들에게 직접적인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둔 결과다. 제주 개막식과 롯데백화점 상생판매전 역시 각각 1만 8000명 방문, 8500만 원 매출, 1억 원 매출이라는 성과를 거두며 지역 경제 활성화와 상생 모델 구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와 더불어, 상생소비복권과 다양한 민간 기업의 소비 촉진 이벤트는 내수 시장에 더욱 활기를 불어넣었다. 1000만 명이 응모한 상생소비복권 이벤트는 전통시장 및 소상공인 매장의 카드 결제를 유도하며 추가적인 소비를 이끌어냈다. 7개 TV홈쇼핑사와 7개 카드사 역시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제품 판매 확대를 위한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며 소비자들의 참여를 독려했다. 배달의민족은 제주 지역 할인쿠폰 및 집중호우 피해 지역 소상공인을 위한 추가 할인쿠폰을 발급하며 소외된 지역 상권의 회복을 지원했다.
최원영 중기부 소상공인정책실장은 “따뜻한 소비는 소상공인에게 작은 희망의 불씨가 되고 우리 경제에는 힘찬 숨결을 불어넣는다”고 밝히며, 앞으로 정부가 기존 할인 축제를 통합하여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을 새롭게 선보일 예정임을 알렸다. 10월 29일부터 11월 9일까지 진행될 이 행사는 쇼핑, 여행, 문화를 아우르는 다채로운 소비 혜택을 제공하여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9월 동행축제가 보여준 성과는 침체된 내수 시장에 희망을 제시하며, 앞으로 이어질 대규모 할인 축제에 대한 기대감을 더욱 높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