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민국 공공 부문이 AI 시대를 맞아 심각한 데이터 관리 및 보고 체계 문제에 직면해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는 잠재된 패턴을 찾아내는 AI의 본질적인 작동 방식과 맞물려, 결국 AI 지능 격차를 심화시키는 근본적인 원인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현재 대한민국 정부 조직 내 데이터 관리의 현실은 ‘D 드라이브’라는 비유처럼 파편화되고 임시적인 형태에 머물러 있다. “그 자료 어디 있어?”라는 질문에 대한 답은 담당 공무원의 부재나 컴퓨터 비밀번호 확인으로 이어지기 일쑤이며, 이는 결국 데이터가 특정 개인이나 저장 장치에 종속되어 쉽게 유실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I는 수많은 데이터를 학습하여 잠재된 패턴을 찾아내는데, 데이터가 파편화되고 체계적으로 관리되지 않으면 AI는 제대로 된 학습을 할 수 없다. 이는 마치 주사위를 세 번만 굴려 나온 결과로 ‘이 주사위는 6이 많이 나온다’고 성급하게 결론 내리는 ‘과적합’의 함정에 빠지는 것과 같다. 즉, 충분히 많은 데이터와 그 맥락이 확보되지 않으면 AI는 결코 똑똑해질 수 없다. 대한민국 공무원들이 장차 써야 할 AI의 미래가 개인의 D 드라이브와 함께 포맷될 위험에 처해 있는 것이다.
보고서 작성 방식 또한 AI 발전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한국의 공무원들은 높은 사람에게 올라갈 보고서일수록 1페이지로 압축하고, 자간과 장평을 세밀하게 조절하며, 문장을 개조식, 음슴체로 작성하는 데 능숙하다. 심지어 공무원 전용 폰트까지 사용하는 현실이다. 하지만 세계 최고 수준의 AI 기술을 개발하는 실리콘밸리의 기업들은 이러한 방식과는 전혀 다른 접근을 하고 있다. 아마존의 ‘6 페이저’는 구성원 모두가 6페이지 분량의 완전 문장 서술체 메모를 작성하고, 회의 참석자 전원이 첫 30분간 이를 읽는 데 할애한다. 이는 목표와 원칙을 명확히 함으로써 길을 잃지 않게 하고, 엉성한 사고를 숨기기 쉬운 파워포인트와 같은 발표 자료 대신, 더 나은 사고와 중요한 것에 대한 이해를 강제하는 서술 구조를 통해 핵심 내용을 깊이 있게 전달하기 위함이다.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창업자는 “파워포인트는 판매 도구이며, 내부적으로는 끝까지 하고 싶지 않은 일이 판매하는 것”이라고 말하며, 서술 구조를 가진 완전한 문장을 써야 할 때 엉성한 사고를 숨기기 어렵다는 점을 강조했다.
클라우드 기반 협업 시스템의 부재 또한 문제다. 실리콘밸리 기업들은 위키 엔진 기반의 공개 게시판을 통해 협업하며, 재무 및 인사 부서를 제외한 거의 모든 부서의 게시판이 공개를 원칙으로 한다. 이를 통해 모든 참가자는 논의 과정과 자료를 공유하며 ‘맥락’을 이해할 수 있다. 문장이 아닌 ‘문맥’이 기본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공개된 시스템은 모든 자료와 검토 자료가 조직 내에 축적되게 하며, 이는 AI가 학습하기에 더없이 이상적인 환경을 제공한다. 결국, 파편화된 문장만 마지못해 제공하는 조직과, 모든 맥락과 검토 자료를 넘겨주는 조직 사이에 AI의 지능 격차는 필연적으로 벌어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중요한 보고일수록 1페이지 요약을 최소화하고, 전체 소요 시간과 업무 효율성을 고려한 ‘총소유비용(TCO)’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 1페이지 보고서는 잉크값이 비싼 싸구려 잉크젯 프린터와 같다고 볼 수 있다. 주요한 결정이 필요한 보고서는 ‘많은 엉성한 사고를 숨길 수 있기’ 때문에 음슴체가 아닌, ‘더 나은 사고와 무엇이 더 중요한지에 대한 더 나은 이해를 강제’하는 서술체로 작성해야 한다. 무엇보다도 서술체는 AI를 학습시키고 맥락을 공유하는 데 있어 음슴체보다 백만 배 낫다. 대한민국 공무원은 훨씬 더 뛰어난 인공지능을 사용할 자격이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데이터 관리 및 보고 체계의 근본적인 혁신이 시급하다.
박태웅 녹서포럼 의장은 한빛미디어 이사회 의장, KTH, 엠파스 등 IT 업계에서 오랜 경험을 쌓았으며, IT 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2021년 동탑산업훈장을 수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