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미 관세협상 시한(8월 1일)이 나흘 앞으로 다가오면서, 협상 타결 여부에 따라 한국 경제 성장률이 크게 오르내릴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협상이 결렬돼 고율 관세(25%)가 유지될 경우 수출 급감과 원화 가치 급락 등 복합 충격이 우려되는 반면, 일본과 유사한 수준(15%)에서 타결되면 경제 반등의 계기가 마련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사진은 28일 경기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에 수출용 컨테이너들이 세워져 있는 모습.
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을 0.9%로 전망하며, 이는 지난 7월 전망치보다 0.1%p 높은 수치다. 또한 내년에는 올해보다 대폭 높은 1.8%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하며, 이는 7월 전망을 그대로 유지한 것이다. 기획재정부가 국제통화기금의 ’10월 세계경제전망’ 발표 내용을 공개하며 이 같은 전망을 밝혔다.
IMF는 세계 경제 성장률을 올해 3.2%로 지난 7월 전망보다 0.2%p 상향 조정했으며, 내년에는 3.1%로 기존 전망을 유지했다. 이는 미국의 관세 인하 및 유예에 따른 불확실성 완화, 경제 주체들의 양호한 적응력, 그리고 달러 약세 등을 고려한 결과다. 이러한 세계 경제 상황 속에서 한국 경제 역시 올해 성장률을 0.9%로 높여 잡은 것은 우리 경제가 내년에는 잠재 수준의 정상 성장 궤도로 복귀할 것을 전망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IMF는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 등 41개 선진국 그룹의 올해 성장률을 1.6%로 상향 조정했으며, 내년 역시 1.6%로 전망했다. 국가별로는 미국의 올해 및 내년 성장률을 각각 2.0%, 2.1%로 상향 조정했는데, 이는 관세 인하, 감세 법안 통과, 금융 여건 완화 등에 따른 영향으로 분석된다. 신흥개도국 그룹의 경우, 올해 성장률을 4.2%, 내년은 4.0%로 전망했으며, 중국은 무역 불확실성과 관세의 부정적 영향을 희석시키며 올해와 내년 성장률 모두 4.8%와 4.2%를 유지했다.
글로벌 물가상승률은 올해 4.2%, 내년 3.7%를 기록하며 전반적으로 하향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된다. 그러나 IMF는 세계 경제의 리스크가 여전히 하방 요인으로 기울어져 있다고 진단했다. 주요 하방 요인으로는 무역 불확실성, 이민 제한 정책에 따른 생산성 악화, 재정 및 금융시장 불안, 그리고 AI 등 신기술에 대한 재평가 가능성을 제시했다. 반면, 무역 갈등 완화, 각국의 구조개혁 노력 가속화, AI 도입으로 인한 생산성 향상은 세계 경제의 상방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IMF는 이러한 글로벌 경제 환경 속에서 한국 경제의 회복세를 전망하며, 잠재 성장률 수준으로 복귀할 것이라는 기대를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