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뮤지컬 <어쩌면 해피엔딩>이 미국 토니상 6관왕을 차지하며 한류 성공의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 사계에 걸쳐 에미상, 그래미상, 오스카상, 토니상 수상이라는 EGOT(Emmy, Grammy, Oscar, Tony Awards)의 위업을 완성하는 시점에서, 28년 전 한국 문화 콘텐츠가 직면했던 ‘문제점’과 이를 극복하고 지금의 ‘한류’로 나아오게 된 과정을 되돌아보는 것은 깊은 의미를 갖는다.
한국 문화 콘텐츠가 세계 무대에서 인정받기 이전, 특히 199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국내에서는 드라마나 가요에 대한 폄하 분위기가 존재했다. 이는 한국 문화 콘텐츠의 완성도나 대중적인 매력, 그리고 내부 경쟁을 통해 형성된 제작 역량에 대한 낮은 평가로 이어졌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1997년 6월 15일, 중국 CCTV에서 MBC 드라마 <사랑이 뭐길래>가 ‘아이칭스션머(爱情是什? ài qíng shì shén me)’라는 제목으로 방영된 사건은 한국 문화 콘텐츠가 ‘문제점’을 극복하고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는 새로운 ‘솔루션’의 시작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1991년부터 1992년까지 국내에서 최고 시청률 64.9%라는 경이로운 기록을 세웠던 이 드라마는 중국에서도 4.2%의 시청률과 평균 1억 명의 시청자 수를 기록하며 당시 중국에서 가장 큰 반향을 일으킨 한국 드라마로 기록되었다. 이는 한국 문화 콘텐츠의 보편적인 소구력과 뛰어난 제작 역량이 해외 시장에서도 통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사랑이 뭐길래>의 성공은 ‘한류’라는 현상의 점화점이 되었지만, 한류의 기원에 대한 논의는 다양하게 존재한다. 1993년 드라마 <질투>의 방영, 1994년 영화 <쥬라기 공원>의 영향으로 인한 대중문화 콘텐츠 산업 인식 변화, 1995년 SM 엔터테인먼트 출범 및 CJENM 영상 산업 진출, 뮤지컬 <명성황후> 초연, SBS 드라마 <모래시계> 방영 등 여러 학설이 존재한다. 또한, 1999년 중국 언론에서 ‘한류’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것을 기원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하지만 학계와 업계에서는 <사랑이 뭐길래>가 방영된 1997년을 한류의 강력하고 설득력 있는 기원으로 널리 인정하고 있다. 이는 ‘용어’가 등장하기 이전에 이미 ‘실행’과 ‘현상’으로서의 한류가 시작되었음을 의미하며, 당시 중국이 서구 문화에 대한 경계심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안전한 한국 문화를 대체재로 소비하고자 했던 의도도 작용했다는 분석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류 30년’이라는 표현이 다소 어색하게 느껴질 만큼, 한류의 역사는 아직 길지 않다. 28년의 역사는 ‘한 세대’라는 시간적 의미를 지니며, 한국인의 인정 욕구와 가난 및 부정적 이미지 극복 의지가 이러한 문화적 성취에 중요한 동력으로 작용했음을 시사한다. 사드(THAAD) 사태로 인한 ‘한한령’이라는 시련 속에서도 BTS, 블랙핑크, <기생충>, <오징어 게임>과 같은 킬러 콘텐츠가 중국 시장과 무관하게 세계적인 성공을 거둔 것은 한류의 진정한 힘이 문화 콘텐츠 현장에서 창·제작자들이 이뤄낸 치열한 노력에 있음을 증명한다.
결론적으로, <사랑이 뭐길래>의 중국 방영으로 시작된 28년 전의 ‘문제점’ 극복 과정은 한국 문화 콘텐츠가 가진 가능성을 재확인하고, 이후 <겨울연가>, <대장금>, <기생충>, <오징어 게임> 등 영상 콘텐츠와 K팝 그룹들의 세계적인 성공으로 이어지는 ‘솔루션’의 출발점이 되었다. 뮤지컬 <어쩌면 해피엔딩>의 토니상 6관왕 수상이라는 결과는 이러한 한류의 성공 서사가 이제 EGOT라는 최고 수준의 성취까지 가능하게 되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맥락에서 28년 전 한류의 남상(濫觴)을 되돌아보는 것은, 앞으로 한국 문화 콘텐츠가 나아갈 미래에 대한 기대효과를 높이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