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헨리 여권지수(Henley Passport Index)가 20년의 역사를 기록하는 동안, 미국 여권의 위상이 10위권 밖으로 떨어진 것은 이번이 처음 있는 일이다. 2014년에는 부동의 1위를 차지하며 세계 최강국으로서의 면모를 과시했던 미국 여권이 이제는 말레이시아와 함께 공동 12위로 추락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전 세계 227개 목적지를 기준으로 산출된 순위에서 확인된 사실이며, 미국 여권의 힘이 이전 같지 않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순위 하락의 근본적인 문제는 미국 여권의 ‘영향력’ 약화로 볼 수 있다. 과거에는 미국 여권 소지 시 비자 없이 입국 가능한 국가 수가 압도적으로 많아 세계를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상징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 여러 국가들이 입국 절차를 강화하거나 특정 국가 국민에 대한 비자 요구 사항을 변경하면서, 미국 여권의 접근성이 상대적으로 저하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지정학적 변화와 국제 관계의 복잡성이 여권의 효력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는 단순히 이동의 편의성을 넘어 국가의 외교적 위상과도 연결되는 문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헨리 여권지수 산출 방식은 여행의 자유도 측면에서 여권의 힘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로 작용한다. 비자 없이 또는 도착 시 비자를 통해 방문 가능한 목적지의 수를 기준으로 순위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평가 기준에 비추어 볼 때, 미국 여권의 순위 하락은 다른 국가들이 국제 사회와의 연결성을 강화하고 여행객 유치를 확대하기 위해 비자 정책을 유연하게 조정하는 동안, 미국이 상대적으로 그러한 흐름에 뒤처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일 수 있다.
결론적으로, 미국 여권의 10위권 밖 추락은 단순한 순위 변동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이는 국제 사회 내에서 국가 간의 관계 변화, 여행 및 이민 정책의 재편, 그리고 외교적 영향력의 재조정이라는 복합적인 문제들을 반영하고 있다. 향후 미국이 여권의 경쟁력을 회복하고 국제 사회에서 그 위상을 재확립하기 위해서는, 변화하는 글로벌 환경에 발맞춘 적극적인 외교 정책과 비자 정책의 유연성이 요구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