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사춘기를 겪는 아들의 까칠함과 함께 집에서 OTT 시청이 당연해진 시대에, 오랜만에 가족 단위의 극장 방문은 낯선 일이 되었다. 9월, 하나뿐인 아들의 생일을 앞두고 극장 나들이를 제안했지만, 아들의 마음을 움직인 것은 친구들의 추천 영화 ‘귀멸의 칼날’이었다. 이미 누적 관객 400만을 돌파한 이 영화를 보기 위해 극장을 찾았지만, 영화 관람료 부담은 여전히 존재했다. 집에서 편안하게, 때로는 OTT 구독료 몇만 원으로 해결되는 영화 감상이 극장 방문의 발길을 뜸하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대형 스크린과 웅장한 사운드, 그리고 극장에서만 느낄 수 있는 특별한 경험은 이제 익숙한 안락함에 밀려나는 듯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문화체육관광부와 영화진흥위원회가 8일부터 영화 관람료 6천원 할인권 188만 장을 추가 배포하며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이는 민생 회복과 영화산업 활성화를 목표로 지난 7월 25일부터 시행된 450만 장의 할인권 배포에 이은 두 번째 조치로, 1차 배포 당시 사용되지 않은 잔여 할인권을 재배포하는 것이다. 이번 할인권은 선착순으로 지급되므로, 서둘러 혜택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주목할 점은 1차 배포 때 할인 혜택을 받은 사람도 별도의 다운로드 과정 없이 쿠폰함에 미리 담긴 1인 2매의 할인권을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기존 회원이 아니라면 회원 가입 절차를 거쳐야 하지만, 이를 통해 6천원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이번 할인권의 또 다른 긍정적인 측면은 활용 범위의 확장성이다. 대형 멀티플렉스뿐만 아니라 독립·예술영화 전용관, 작은영화관, 실버영화관 등 다양한 형태의 영화관에서도 사용이 가능하여, 개인의 취향에 맞는 영화를 더욱 부담 없이 즐길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누리집과 애플리케이션 이용이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 종합 안내 창구(☎070-4027-0279)도 운영되어, 영화 할인권 이용의 접근성을 높였다. 이러한 노력 덕분에 오랜만에 극장은 예전의 활기를 되찾은 듯했다. 가족, 친구, 연인 등 다양한 구성원의 얼굴에 웃음꽃이 만발하며 극장가는 북적이는 모습이었다.
실제로 문화체육관광부의 발표에 따르면, 1차 할인권 배포 기간 동안 영화관을 찾은 관객 수는 올해 7월 24일까지의 일평균 관객 수 대비 1.8배 증가하는 효과를 보였다. 또한, 할인권 배포 후 3주간의 분석 데이터에서는 10명 중 3명이 최근 1년간 극장 방문이 뜸했던 신규 또는 기존 고객으로 나타나, 이번 할인권 사업이 잠재 관객을 다시 극장으로 유인하는 데 상당한 역할을 했음을 시사한다. 아들 역시 오랜만의 극장 나들이에 기분이 전환된 듯, 친구와 함께 영화를 한 번 더 보고 싶다는 의사를 밝히기도 했다. 미성년자인 아들도 회원 가입을 통해 추가 할인권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며, 6천원 할인권의 긍정적인 파급 효과를 다시 한번 실감할 수 있었다. 이처럼 6천원 할인권은 단순한 가격 할인 이상의 의미를 가지며, 잊혀졌던 극장의 즐거움을 되찾고 영화 산업 전반에 활력을 불어넣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