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민석 국무총리가 9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579돌 한글날 경축식에서 축사하고 있다.
세계 87개국에서 14만 명이 넘는 외국인이 한국어를 배우고 한국 문화를 접하고 있다는 사실은 K-문화의 눈부신 확산 이면에 놓인 언어적 기반에 대한 심각한 고민을 제기한다. 이는 한국어와 한글이 더 이상 내수용 문자를 넘어, 세계와 소통하는 강력한 문화 콘텐츠의 원천임을 시사한다. 국무총리실은 이러한 현실에 주목하며, 한국어와 한글을 미래를 이끌어갈 문화적 언어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구체적인 정책 추진을 예고했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지난 9일 제579돌 한글날 경축식에서, 한국어와 한글이 K-문화의 핵심 동력임을 재확인하며 이를 세계적으로 더욱 확산시키기 위한 정부의 의지를 분명히 밝혔다. 김 총리는 “한글은 창제 원리와 시기, 창제자가 분명히 알려진 세계에서 유일한 문자이며, 세계의 학자들은 한글을 인류의 가장 빛나는 지적 성취의 하나로 평가하고 있다”고 강조하며 한글이 가진 보편적 가치를 역설했다. 이는 한국어와 한글의 탁월함을 재조명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문화적 영향력을 더욱 확대해야 한다는 정책적 필요성을 제기하는 배경이 된다.
이러한 문제 인식 하에, 정부는 한국어와 한글을 세계인이 더욱 쉽게 배우고 접근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추진한다. 우선, 14만 명이 넘는 외국인이 한국어를 배우는 세종학당을 더욱 확대하여 한국 문화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계획이다. 또한, 한글의 독창성과 우수성을 활용한 상품의 개발, 전시, 홍보를 적극 지원하여 한글이 문화 산업 전반에 걸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힘쓸 예정이다. 더불어, 인공지능(AI) 시대의 핵심 역량인 한국어 기반 언어 정보 자원 구축을 확대하여 미래 기술 발전에 한국어가 기여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한다.
김 총리는 “한글은 창제 원리와 시기, 창제자가 분명히 알려진 세계에서 유일한 문자이며, 세계의 학자들은 한글을 인류의 가장 빛나는 지적 성취의 하나로 평가하고 있다”고 언급하며, 한글의 위대함이 문자로서의 우수성을 넘어 백성을 향한 사랑과 혁신의 정신에서 비롯되었음을 강조했다. 이러한 인류애의 정신은 유네스코가 전 세계 문맹 퇴치 공로자를 위해 ‘유네스코 세종대왕 문해상’을 수여하는 것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또한, 일제의 탄압 속에서도 주시경 선생과 조선어학회 회원들이 목숨을 걸고 한국어와 한글을 지켜낸 선조들의 숭고한 노력이 있었기에, 한글이 민족의 정신을 지탱하는 버팀목이 될 수 있었음을 상기시켰다.
현재 한국어와 한글은 K-팝의 노랫말, 드라마와 영화의 섬세하고 풍부한 표현력을 통해 전 세계 팬들과 소통하는 K-문화의 원천으로 기능하고 있다. 유튜브와 소셜미디어를 통해 한국어를 배우고 한국 작품을 즐기려는 세계 청년들의 모습은 이러한 현상을 방증한다. 정부는 언론과 뉴미디어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바르고 쉬운 우리말 쓰기 문화를 확산하는 한편, 곧 개최될 APEC을 ‘초격차 K-APEC’으로 만들기 위한 막바지 준비와 함께 한글을 비롯한 우리 문화의 우수성과 창의성을 세계에 알리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한국어와 한글이 문화를 공유하고 미래를 이끄는 말과 글로서 확고히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