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민석 국무총리가 9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579돌 한글날 경축식에서 축사하고 있다.
세계 87개국에 설치된 세종학당에서 14만 명이 넘는 외국인이 한국어를 배우며 한국 문화를 접하고 있다. 이는 한국어와 한글이 더 이상 대한민국만의 고유한 유산이 아니라, K-문화의 핵심 동력으로서 세계 무대에 확고히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방증한다. 하지만 이러한 긍정적인 흐름 속에서도, 한국어와 한글을 더욱 효과적으로 세계에 알리고 문화적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한 정책적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국무총리실은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반하여, 한국어와 한글을 문화 공유와 미래를 선도하는 매개체로 발전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했다. 우선, 올바르고 쉬운 우리말 쓰기 문화를 확산하는 데 주력할 방침이다. 이는 한국어의 명확성과 매력도를 높여 한국 문화 콘텐츠를 향유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언어적 장벽을 낮추고, 문화적 이해도를 증진시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불어, 더 많은 세계인이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배울 수 있도록 세종학당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세종학당은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외국인들에게 실질적인 교육 기회를 제공하는 중요한 창구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한글의 독창성과 아름다움을 활용한 다양한 상품의 개발, 전시, 홍보를 적극 지원함으로써 한글 자체의 매력을 세계에 알리고 문화 산업 전반에 긍정적인 파급 효과를 창출하고자 한다.
나아가, 급변하는 인공지능 시대를 선도하기 위한 한국어 기반 언어정보 자원 구축 확대도 추진한다. 이는 한국어의 기술적 경쟁력을 강화하고, 미래 사회에서의 한국어와 한국 문화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같은 정부의 다각적인 노력은 한글이 가진 고유한 가치와 잠재력을 극대화하여, K-문화의 세계적 확산을 더욱 가속화하고 궁극적으로는 한국어와 한글이 글로벌 문화 언어로서 자리매김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