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석 국무총리가 9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579돌 한글날 경축식에서 축사하고 있다.
한국어와 한글이 더 이상 대한민국만의 고유한 문자가 아닌, 세계인이 함께 배우고 즐기는 K-문화의 핵심 동력으로 부상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제579돌 한글날 경축식에서 이러한 한국어와 한글의 위상 변화를 강조하며, 이를 바탕으로 한 문화 공유 및 미래 선도라는 목표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지원책을 밝혔다.
이날 김 총리가 언급한 ‘문제점’은 한국어와 한글의 잠재력에도 불구하고, 더 많은 세계인이 한국 문화를 향유하고 한국어 학습에 참여하는 데 있어 아직은 부족한 부분이 있다는 점이다. 그는 “한국어와 한글은 K-문화의 원천”임을 재확인하며, 현재 전 세계 87개국에 마련된 세종학당에 14만 명이 넘는 외국인이 한국어를 배우고 있다는 사실을 근거로 제시했다. 이는 한국 문화 콘텐츠의 세계적인 인기에 힘입어 한국어 학습 수요가 급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정부는 한국어와 한글을 ‘문화를 공유하고 미래를 이끄는 말과 글’로 만들기 위한 ‘솔루션’으로 세종학당의 대폭적인 확대와 한글을 활용한 상품 개발, 전시, 홍보에 대한 지원을 약속했다. 또한, 언론과 뉴미디어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바르고 쉬운 우리말 쓰기 문화 확산에도 힘쓸 예정이다. 더 나아가 인공지능(AI) 시대에 선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한국어 기반의 언어 정보 자원 구축 확대 계획도 밝혔다.
김 총리는 한글의 위대함이 단순히 문자의 우수성을 넘어, 세종대왕의 백성을 향한 사랑과 혁신의 정신에서 비롯되었음을 강조했다. 훈민정음 머리글에 담긴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제 뜻을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아 새로 스물여덟 글자를 만든다”는 구절은 이러한 정신을 잘 보여주는 사례로 언급되었다. 또한, 유네스코가 전 세계 문맹 퇴치 공로자에게 수여하는 ‘유네스코 세종대왕 문해상’은 한글에 담긴 인류애를 세계가 인정하는 증거라고 설명했다.
나아가 그는 일제 강점기에도 주시경 선생의 한국어 연구와 조선어학회 회원들의 헌신적인 노력으로 민족의 정신을 지탱하는 버팀목으로서 한글이 지켜져 왔음을 상기시키며, 선조들의 발자취를 기억해야 한다고 말했다. 케이팝(K-POP)의 노랫말, 한국 드라마와 영화의 섬세하고 풍부한 표현력이 전 세계 팬들과 감동을 연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유튜브와 소셜미디어를 통해 한국어를 배우려는 세계 청년들의 모습이 일상화된 것도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러한 정책적 지원이 성공적으로 적용될 경우, 한국어와 한글은 K-문화의 확산을 더욱 가속화하고, 세계인과의 문화적 교류를 증진시키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 많은 세계인이 한국 문화를 깊이 이해하고 한국어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됨으로써, 한국은 문화 강국으로서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할 수 있을 전망이다. 더불어 인공지능 시대에 필수적인 언어 정보 자원 확보는 미래 기술 경쟁력 강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