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치매는 단순한 기억력 저하를 넘어 개인의 삶과 가족 공동체 전체를 흔드는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급격한 고령화로 인해 국내 치매 환자 수는 약 100만 명에 달하며, 2030년에는 15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는 ‘치매국가책임제’를 통해 치료비 부담 완화, 돌봄 서비스 확대, 예방 교육 강화 등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적 지원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산적해 있다.
최근 기자가 동작구 치매안심센터에서 만난 한 60대 여성은 “어머니가 길을 잃으신 게 벌써 세 번째”라며 눈시울을 붉혔다. 이러한 사례는 치매 환자 돌봄에 대한 가정의 고통과 사회적 지원의 필요성을 여실히 보여준다. 현재 전국 256곳에서 운영 중인 치매안심센터는 무료 검진, 인지 재활, 가족 상담, 환자 돌봄 지원 등 종합 서비스를 제공하며 치매 환자와 가족의 든든한 버팀목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올해부터는 생활 방식, 가족 구조, 소득 수준을 고려한 맞춤형 사례 관리 모델이 전국으로 확대되었으며, 쉼터 운영 대상도 장기요양 5등급 환자까지 넓혀 보호자들의 돌봄 부담을 경감시키고 있다.
기자가 직접 치매 관리 체계를 경험한 사례는 조기 발견과 제도적 지원망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심장혈관 질환을 앓고 있는 기자는 일상생활에서 겪는 작은 건망증을 털어놓았다가 주민센터 간호사 상담을 통해 1차 인지검사를 받게 되었다. 검사 결과 ‘경도인지장애 전 단계’라는 진단을 받은 후, 치매안심센터의 정밀검사와 병원 연계 진료를 통해 약물 치료를 시작했다. 약 한 달간의 복용 후 깜빡임 증상이 눈에 띄게 줄어들면서 일상의 불편함이 해소되었고, 이는 초기 관리가 치매 진행을 늦출 수 있음을 시사한다. 현장에서 만난 돌봄단 관계자는 “치매 환자에게 음식과 복약에 도움을 주는 단순한 활동이지만, 환자와 가족 모두에게 큰 힘이 된다”고 말하며, 지역 주민들과 함께 ‘치매 안전망 지도’를 만들어 돌봄 공백을 줄이는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고 밝혔다.
디지털 기술 또한 치매 예방 및 관리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고 있다. 최근 도입된 ‘오늘건강’ 앱은 약 복용 알림, 인지 퀴즈, 두뇌 훈련, 걸음 수 및 수면 패턴 기록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치매안심센터와의 데이터 연동도 가능하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건강 상태를 꾸준히 관리하고, 가족들은 부모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며 이상 징후를 조기에 파악할 수 있다. 복지관에서 만난 한 70대 이용자는 “앱에서 단어 맞추기를 하다 보니 머리가 맑아지는 느낌”이라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하지만 농촌 지역이나 독거노인의 경우 앱 사용에 어려움이 있어, 교육과 보급이 병행되어야 한다는 과제도 남아 있다.
치매는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 전체의 책임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보호자들의 경제적, 심리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정부는 치매 치료 관리비 지원 대상을 확대하고 있으며, 일부 지자체는 소득 기준을 완화하는 등 제도적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그러나 재정 여력이 부족한 농어촌 지자체에서는 서비스 접근성 저하와 돌봄 인력 부족 문제가 여전히 심각하다. 치매안심센터에서 만난 한 가족은 “예전에는 치매라는 단어조차 꺼내기 힘들었는데, 이제는 사회 전체가 함께 고민하고 해결하려 한다는 사실이 큰 힘이 된다”고 토로했다.
매년 9월 21일 ‘치매극복의 날’은 치매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고, 국민 모두가 함께 연대해야 할 필요성을 일깨우는 계기가 되고 있다. 치매는 더 이상 개인과 가족의 고립된 싸움이 아니며, 사회적 관심과 국가적 책임이 결합될 때 “치매와도 함께 살아갈 수 있는 사회”라는 새로운 가능성을 만들어갈 수 있다. 건망증과 치매의 차이를 명확히 인지하고, 기억력 저하, 시간·장소 지남력 저하, 언어 능력 저하 등 치매의 전조 증상을 조기에 발견하여 적극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치매 치료는 빠를수록 병의 발전 속도를 늦출 수 있으며, 이는 기억을 지키는 일, 곧 삶을 지키는 일과 직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