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와 고금리가 지속되면서 서민 경제에 드리운 그림자가 짙어지고 있다. 소상공인과 영세 자영업자들은 운영 자금 부족과 생계비 부담이라는 이중고에 시달리고 있으며, 전통 시장은 경쟁력 약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국민들이 겪는 실질적인 어려움과 절박한 목소리가 정책으로 이어지기 위한 노력이 시작되었다.
이재명 대통령은 14일 오후 서울 콘텐츠문화광장에서 국민 패널 110여 명과 함께 ‘디지털 토크 라이브-국민의 목소리, 정책이 되다’를 개최하고 민생·경제 현장의 다양한 목소리를 직접 청취했다. 이번 행사는 ‘국민사서함’을 통해 접수된 민생·경제 분야 정책 제안을 바탕으로, 국민들이 겪는 실질적인 어려움을 공유하고 그 해결 방안을 함께 모색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는 ‘국민주권 실현’과 ‘참여와 소통’을 강조해 온 대통령의 국정 철학을 반영한 중요한 소통 행보다.
이날 행사에서 다뤄진 주요 안건은 ‘국민사서함’에 접수된 총 3만 8741건의 제안 중 비중이 높은 경제·민생 분야(1만 7062건, 44%)에 집중되었다. 특히 국민들의 높은 관심을 받았던 소상공인 금융 지원 확대, 고물가에 따른 생계비 부담 완화, 전통 시장 경쟁력 강화, 영세 자영업자 운영 자금 지원, 지역 화폐 활성화 등 핵심 민생 과제들에 대해 심도 있는 토론이 이루어졌다.
이재명 대통령은 모두 발언을 통해 “국민 여러분께서 ‘국민사서함’을 통해 보내주신 소중한 의견들이 오늘 토론의 출발점”이라고 밝히며, “고금리와 고물가로 힘든 시기를 보내고 계신 국민 여러분의 절박한 목소리를 무겁게 듣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국민주권정부의 정책은 국민의 삶과 동떨어져서는 안 되며, 현장의 목소리에서 시작해야 한다는 것이 저의 변함없는 신념”이라고 피력하며, “오늘 주신 생생한 말씀들을 정책으로 다듬어 국민의 삶에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어내는 것으로 보답하겠다”고 약속했다. 더불어 “정부의 역할은 국민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더 나은 삶을 보장하는 것”이라며, “현실적인 대안과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가감 없이 제시해 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번 행사는 ‘1부: 현장의 목소리’와 ‘2부: 대통령의 약속, 국민과의 대화’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국민 누구나 토론 현장을 실시간으로 시청할 수 있도록 유튜브 이재명TV, KTV 국민방송, 참여 크리에이터 채널 등을 통해 생중계되었다. 대통령실은 이번 행사를 시작으로 국민의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하는 디지털 소통을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며,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 변화를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러한 정책적 노력들이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져 고물가·고금리로 인한 국민들의 경제적 어려움이 효과적으로 해소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