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 개개인이 우리나라를 알리는 공공 외교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과거 한류 열풍 이전에도 개인적인 경험을 통해 한국에 대한 외국 친구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한국으로 이끌었던 경험은, 문화와 예술을 매개로 한 국민 간의 교류가 국제 사회에서의 신뢰와 호감을 형성하는 데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준다. 그러나 이러한 개인적인 노력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국민들이 쉽게 참여할 수 있는 공식적인 창구가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정부는 국민들이 직접 문화와 예술을 통해 국가 간 신뢰와 호감을 쌓는 ‘공공외교’를 강화하고, 이를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제7회 공공외교주간’을 개최하고 있다. 외교부와 한국국제교류재단(KF)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이 행사는 9월 8일부터 27일까지 KF 글로벌 센터, 각국 대사관, 서울광장 등에서 진행된다. 이번 공공외교주간은 한국의 공공외교 현장과 문화를 한자리에서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워크숍, 포럼, 전시, 공연 등으로 다채롭게 구성되었다.
특히, 이번 공공외교주간은 문화적 접점을 통해 국가 간 거리를 좁히고 상호 이해를 증진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예를 들어, 콜롬비아 커피 워크숍은 한국과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지만 커피라는 매개체를 통해 콜롬비아 사람들과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주한 콜롬비아 대사의 커피 역사 및 재배 방식 설명과 커피 전문가의 시연 및 시음 프로그램은 참가자들에게 콜롬비아 커피의 우수성을 알리고, 커피 문화를 통해 콜롬비아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기회를 제공했다. 또한, 6·25 전쟁 당시 파병으로 한국을 도왔던 콜롬비아와의 역사적 관계를 상기시키며, 무비자 협정 등을 통해 양국 간의 긴밀함을 강조했다. 이러한 문화 교류 프로그램들은 참가자들이 서로의 나라를 더 깊이 이해하고, 이는 국제 사회에서의 협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호감과 신뢰를 쌓는 밑거름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제7회 공공외교주간’을 통해 국민들은 공공외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각자가 공공외교의 주체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자긍심을 갖게 될 것이다. 외교부가 내년 예산안에서 국민 참여형 공공외교 사업을 확대하고 신기술 활용 디지털 공공외교를 강화하겠다고 밝힌 만큼, 앞으로 더욱 다양한 방식으로 문화 교류가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국민들의 지지와 참여가 뒷받침되는 외교는 그 어떤 것보다 끈끈하고 강력한 관계를 형성하며, 국가 발전에 기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