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 대응이라는 시대적 과제 속에서 노후 석탄발전기의 단계적 폐지는 피할 수 없는 결정이지만, 이로 인한 일자리 감소와 산업 현장의 안전 문제는 풀어야 할 숙제로 남아있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지난 10일, 김성환 장관이 서부발전 태안석탄발전소를 직접 방문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청정전력 전환 정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한 정부의 강력한 의지를 밝혔다.
이번 방문은 단순한 현장 점검을 넘어,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청정전력 전환 정책이 실질적으로 구현되는 첫걸음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특히, 태안석탄 1호기는 새 정부의 첫 석탄발전 폐지 사례로서 오는 12월 가동을 종료할 예정이다. 그러나 폐지에 따른 인력 공백에 대한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정부는 ‘일자리 상실 없는 전환’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총 129명의 발전 인력 중 서부발전 본사 소속 65명은 구미 천연가스 발전소로 재배치되며, 협력업체 소속 64명은 태안 지역 내 다른 석탄발전기로 이동하여 고용 불안정을 최소화할 방침이다. 이는 경제적 전환 과정에서도 노동자의 생계를 보장하겠다는 정부의 약속을 보여준다.
더불어, 정부는 지난 6월 2일 발생했던 고 김충현 씨의 산업재해와 같은 비극적인 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강력한 안전 강화 대책을 병행하고 있다. 사고 발생 이후, 정부는 민주노총 및 한국노총과 각각 고용안정 협의체와 정의로운 전환 협의체를 구성하여 현장 안전 강화와 노동자 보호를 위한 노사정 간의 심도 깊은 협의를 지속적으로 이어가고 있다. 이러한 협력적인 논의 과정을 통해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실효성 있는 안전 규범을 마련하려는 노력이 진행 중이다.
김성환 장관은 이번 태안석탄발전소 방문을 통해 “기후위기에 대응한 녹색 대전환의 신호탄이자 정의로운 전환으로 일자리도 반드시 지킬 것이라는 정부의 강력한 의지를 알리는 첫걸음”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삼아 산업재해를 철저히 예방하겠다”는 다짐을 밝혔다. 이러한 발표는 석탄발전 폐지라는 거대한 전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회적, 경제적 충격을 최소화하고, 동시에 안전한 작업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정부가 추진하는 정책이 국민들에게 신뢰받는 ‘정의로운 전환’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지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