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명절이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음식물 쓰레기 문제는 많은 가정의 골칫거리로 떠오르고 있다. 평소보다 넉넉하게 장을 보고 정성껏 음식을 준비하다 보면 불가피하게 많은 양의 음식물 쓰레기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환경공단이 ‘추석 명절 음식물 쓱싹 줄이기’ 캠페인을 통해 가정 내 음식물 낭비를 줄이고자 나섰다.
이번 캠페인은 추석 연휴 기간 동안 급증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의식적으로 감량하고, 낭비 없는 음식 문화 정착을 목표로 한다. 특히 무선인식(RFID) 종량제 후불제를 사용하는 세대를 대상으로 하며, 행사 포스터 내 큐알(QR) 코드를 통해 신청할 수 있다. 캠페인 참여는 음식물 쓰레기 감량에 직접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환경공단에 따르면, 2023년 기준 국내에서 하루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는 약 1만 4천 톤에 달하며, 이는 전체 쓰레기 발생량의 28.7%를 차지하는 상당한 양이다. 더 심각한 것은 음식물의 약 7분의 1이 쓰레기로 폐기되어 연간 20조 원 이상의 경제적 손실을 유발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수치는 명절 기간 동안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 문제를 더욱 심각하게 바라보게 한다.
이 캠페인은 10월 1일부터 14일까지 2주간 진행되며, RFID 음식물 쓰레기 관리시스템을 통해 참여 세대의 배출량을 분석한다. 평상시 배출량과 비교하여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이 감량된 세대 중 50세대를 추첨하여 10월 30일에 모바일 상품권을 지급할 예정이다. RFID 종량제는 쓰레기 배출량을 자동으로 측정하고 그 무게만큼 수수료를 부과하는 방식으로, 이는 배출량을 줄이려는 노력을 자연스럽게 이끌어낸다. 예를 들어, 1kg당 63원의 배출 요금이 부과되는 지역에서는 배출량에 따른 비용 부담으로 인해 쓰레기 감축의 필요성을 더욱 절감하게 된다.
실제로 RFID 배출기를 사용하면서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이 줄었다는 경험담도 있다. 이전에는 일반 쓰레기통에 배출하여 정확한 배출량을 파악하기 어려웠지만, RFID 태그가 부착된 전용 기기를 사용하면서 자신의 배출량을 직접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를 통해 평소 160원 정도의 수수료를 지불하던 가정이 캠페인 참여 기간 동안 120원 정도로 배출량을 줄이는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이러한 경험은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가 단순한 캠페인 참여를 넘어 실질적인 생활 습관 변화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한국환경공단은 지난 3년간 명절 연휴 기간 동안 RFID 종량제 사용 가정을 대상으로 진행한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캠페인을 통해 총 6,200톤의 쓰레기를 감량하는 성과를 거두었다고 밝혔다. 이번 추석 연휴에도 더 많은 가정의 동참을 통해 이러한 긍정적인 결과가 이어지기를 기대하고 있다.
한편, 한국환경공단은 생활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방법도 함께 소개했다. 가장 먼저 장보기 전 구매 목록을 작성하여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냉장고 속 재고를 미리 확인하는 습관 역시 충동 구매를 막고 음식물 낭비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남은 음식은 볶음밥이나 샐러드 등 다양한 요리로 재활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는 동시에 건강한 집밥을 즐길 수 있다. 이러한 사소해 보이는 습관들이 모이면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을 확실하게 줄일 수 있으며, 추석 연휴 이후에도 꾸준히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