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소비 심리 위축이라는 거시적 경제 난맥 속에서 ‘동행축제’가 6634억 원이라는 상당한 매출 실적을 기록하며 내수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러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행사의 근본적인 목적 달성 여부와 지속가능성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중소벤처기업부가 발표한 9월 동행축제 결과에 따르면, 이번 행사는 온라인 판매전에서 6307억 원, 오프라인 판매전에서 327억 원의 직접 매출을 올렸을 뿐만 아니라, 온누리상품권 4856억 원, 지역사랑상품권 2412억 원의 판매를 견인하며 침체된 내수 시장에 온기를 불어넣었다. 이는 동행축제가 내수 소비 활성화와 소상공인 매출 증진이라는 명확한 목표를 가지고 기획된 전국 단위의 소비 촉진 행사로서, 일정 부분 그 기능을 수행했음을 시사한다.
9월 동행축제는 민생회복소비쿠폰 지급과 더불어 되살아나는 소비 분위기 확산을 목표로 전국적인 연계 행사와 다채로운 이벤트를 추진했다. 온라인 판매전에는 e커머스, TV홈쇼핑, 전통시장몰 등 2만 7000개 사가 참여하여 6307억 원의 매출 성과를 달성했다. 특히 롯데온의 ‘동행제품100’ 기획전에서는 동아식품의 김가네 식탁 감자탕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6배, 호정식품의 옛날 도나스가 13배의 매출 증가를 기록하며 온라인 판로 확대의 성공 사례를 제시했다. 쿠팡의 ‘동행제품100’ 기획전 역시 다정한 마켓의 반려동물 간식껌 6400만 원, 부쉬맨의 워터프루프 선크림 6000만 원의 매출을 올리며 대표 상품으로서의 입지를 굳혔다.
오프라인 판매전에서는 144곳의 지역 행사와 정책 매장 등을 통해 327억 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전국적인 소비 회복과 소상공인 활력 제고라는 목표 아래, 비수도권 지역과 인구감소 지역의 행사 비중을 76%와 24%로 높이는 등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한 노력을 병행했다. 제주 개막식은 APEC중소기업장관회의 연계 행사로 1만 8000명이 방문하며 성황리에 마무리되었고, 롯데백화점(잠실점)의 상생 판매전은 50개 소상공인 업체가 참여하여 1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대기업-소상공인-전통시장이 함께 성장하는 유통 구조 마련에 기여했다.
이와 더불어 상생소비복권과 민간 기업의 소비 촉진 이벤트 또한 눈길을 끌었다. 10억 원 규모의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을 지급하는 상생소비복권 이벤트는 1000만 명이 응모하는 등 높은 참여율을 보였으며, 7개 TV홈쇼핑사와 7개 카드사는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제품 판매 확대를 위한 다양한 혜택을 제공했다. 배달의민족은 제주 지역 할인쿠폰과 집중호우 피해 지역에 대한 추가 할인쿠폰을 발급하며 소외된 지역 상권 회복에도 힘썼다.
최원영 중기부 소상공인정책실장은 “국민의 따뜻한 소비가 소상공인에게 희망의 불씨가 되고 우리 경제에 힘찬 숨결을 불어넣었다”고 평가하며, 오는 10월 29일부터 11월 9일까지 기존 할인 축제를 통합한 대규모 국가 단위 할인 축제인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을 개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는 동행축제의 성과를 바탕으로 보다 확장된 형태의 소비 촉진 정책을 지속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단기적인 소비 촉진 행사의 성공이 과연 고질적인 내수 부진의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는지, 또한 상품권 발행 및 운영에 따른 재정적 부담은 없는지에 대한 심도 있는 구조적 분석과 논의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