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글날을 맞아 대학생 연합 동아리 <우리말 가꿈이>가 2025년 10월 9일, 서울 올림픽공원 피크닉장에서 기념행사를 개최했다.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진행된 이번 행사는 우리말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친근하게 다가가기 위한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채워졌다. 잔디밭 위에 설치된 부스에서는 우리말 겨루기, 공공언어 개선 캠페인, 사투리 퀴즈, 사진 체험관 등이 운영되었으며, 참여자들은 도장을 5개 모으면 파우치를 선물로 받는 방식으로 모든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이번 행사가 기획된 배경에는 우리말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약해지고 외래어 사용이 빈번해지는 현실에 대한 문제의식이 깔려 있다. 대학생들이 직접 나서 우리말의 가치를 알리고자 하는 노력이 이번 행사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특히, <사투리 어디까지 알아?> 부스에서는 지역별로 다양한 사투리를 지도 위에 직접 표기하며 흥미를 유발했다. ‘겉절이’를 뜻하는 ‘재래기’와 같이 평소 잘 알지 못했던 사투리들을 접하며, 참가자들은 우리나라 말의 풍부함과 다양성을 다시 한번 실감하는 기회를 얻었다.
더불어, <열쇠고리랑 엽서랑> 부스에서는 아름다운 순우리말을 활용한 엽서 꾸미기 활동이 진행되었다. 참여자들은 마음에 드는 순우리말을 골라 캘리그라피처럼 엽서를 꾸미며 우리말에 대한 애정을 표현했다. <우리말 겨루기> 부스에서는 올바른 문장을 고르는 게임을 통해 자연스럽게 문법 지식을 습득할 수 있었으며, 틀려도 계속 도전할 기회를 제공하여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배려했다. <우리말 가꿈이랑 친구맺자> 부스에서는 한글의 ‘한’이 ‘크고 으뜸 되는’이라는 뜻을 가진다는 사실을 배우며, 일상 속에서 무심코 사용했던 단어들의 깊은 의미를 되새기는 시간을 가졌다. <사랑하자 공공언어> 부스에서는 ‘인스타그램 스토리에 나 태그해 줘’와 같은 표현을 ‘누리소통망에 나를 언급해 줘’로 바꾸는 연습을 하며, 외래어 대신 우리말을 사용하는 습관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번 행사는 단순한 기념 행사를 넘어, 우리말을 쉽고 재미있게 배울 수 있는 참여형 교육의 장이었다. 참가자들은 모든 부스를 경험하고 5개의 도장을 모아 파우치를 증정받으며 만족감을 표했다. 당초 아이들을 위한 행사로 예상했지만, 예상보다 다양한 연령대의 참여가 돋보였으며, 올림픽공원이라는 지리적 이점 덕분에 행사 후 가볍게 산책을 즐기기에도 좋았다는 평가도 있었다.
<우리말 가꿈이> 동아리의 이러한 노력은 한글을 아끼고 보존하려는 젊은 세대의 열정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이 행사는 2025년 10월 한 달간 전국 22곳의 국어문화원에서 진행되는 한글날 기념행사의 일환으로, 우리말의 소중함을 되새기고 올바른 언어 사용 문화를 확산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도 이러한 행사를 통해 우리말이 더욱 사랑받고 널리 사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