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미 관세협상 시한(8월 1일)이 나흘 앞으로 다가오면서, 협상 타결 여부에 따라 한국 경제 성장률이 크게 오르내릴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협상이 결렬돼 고율 관세(25%)가 유지될 경우 수출 급감과 원화 가치 급락 등 복합 충격이 우려되는 반면, 일본과 유사한 수준(15%)에서 타결되면 경제 반등의 계기가 마련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사진은 28일 경기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에 수출용 컨테이너들이 세워져 있는 모습.
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을 0.9%로 전망하며 지난 7월 전망치를 0.1%p 상향 조정했다. 이는 현재 한국 경제가 직면한 낮은 성장세라는 문제점을 명확히 보여준다. 특히 내년 성장률은 올해보다 대폭 상향된 1.8%로 예측되어, 현재의 부진에서 벗어나 잠재 수준의 정상 성장 궤도로 복귀할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긍정적인 전망 속에서도 세계 경제 전반에 걸친 하방 위험 요인이 한국 경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IMF가 발표한 ’10월 세계경제전망’에 따르면,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은 3.2%로 지난 7월 전망보다 0.2%p 상향 조정되었다. 이는 미국의 관세 인하 및 유예에 따른 불확실성 완화, 경제 주체들의 양호한 적응력, 그리고 달러 약세 등 긍정적인 요인이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한국 경제 또한 이러한 글로벌 흐름 속에서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0.1%p 높여 0.9%로 조정한 것이다.
이번 IMF의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은 2024년 1.8%라는 수치를 통해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이는 한국 경제가 현재의 어려운 국면을 지나 점진적으로 회복될 것이라는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된다. 선진국 그룹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 역시 1.6%로 소폭 상향 조정되었으며, 미국은 관세 인하, 감세 법안 통과, 금융 여건 완화 등을 바탕으로 올해와 내년 모두 성장률이 각각 2.0%, 2.1%로 상향 조정되었다. 신흥개도국 그룹 역시 올해 성장률을 4.2%로 높여 전망하는 등 글로벌 경제의 완만한 회복세를 뒷받침하고 있다.
그러나 IMF는 세계 경제의 리스크가 여전히 하방 요인으로 기울어져 있다고 진단하며 주의를 당부하고 있다. 주요 하방 요인으로는 무역 불확실성, 이민 제한 정책에 따른 생산성 악화, 재정 및 금융시장 불안, 그리고 AI 등 신기술에 대한 재평가 가능성 등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글로벌 불확실성은 한국 경제의 회복세에도 그림자를 드리울 수 있다는 분석이다. 다만, 무역 갈등이 완화되고 각국이 구조개혁 노력을 가속하며 AI 도입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경우, 이는 세계 경제의 상방 요인으로 작용하여 한국 경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다. 따라서 한국 경제의 향후 전망은 글로벌 환경 변화와 국내 경제의 구조적인 대응 능력에 달려있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