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 이후 우리 문학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열기를 이어받아 문학이 지닌 사회적 연대와 정서적 치유의 가치를 널리 확산시키고자 ‘2025 대한민국 문학축제’가 올해 처음으로 개최되었다. 이번 축제는 ‘서울국제작가축제’, ‘문학주간’, 국립한국문학관 특별전, ‘문학나눔’ 사업 등 그동안 개별적으로 진행되었던 국내 대표 문학 행사들을 하나로 아우르는 통합 행사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전국 각지 문학관, 도서관, 서점에서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동시다발적으로 펼쳐지며 문학을 향한 국민적 관심을 일상 속 즐거움으로 전환시키고 있다.
이번 문학주간 2025에서는 ‘도움―닿기’라는 주제로, 문학이 우리 삶의 어려움과 균열을 비추고 서로의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작은 구름판’이 되기를 바라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이는 바쁘게 흘러가는 일상 속에서 잠시 멈추어 숨을 고르고, 타인의 삶에 기댐으로써 함께 도약할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하자는 취지에서 비롯되었다. 특히 ‘읽고 만나고 쓰는 마음’이라는 주제 스테이지에서는 글쓰기에 대한 작가들의 진솔한 경험담이 공유되어 깊은 울림을 주었다. “때로는 가장 수치스러운 것을 써야 글이 살아난다”거나 “문장이 삶으로 증명 가능한지 자문해 보라”는 말들은 글쓰기가 단순한 기술이 아닌, 자기 고백이자 용기임을 일깨웠다. 또한 “예술가가 아니라 전달자라는 위치에서 글을 써 보라”는 조언은 글쓰기에 대한 부담감을 덜어주는 현실적인 충고로 다가왔다. 글을 쓰는 행위는 곧 자신의 울타리를 넘어 다른 세계와 만나는 통로라는 메시지는 글을 쓰는 사람뿐만 아니라 독자에게도 큰 공감을 불러일으켰다.
비록 야외 프로그램은 아쉽게도 비로 인해 일부가 취소되었지만, 포켓 실크스크린 책갈피 만들기 체험에 참여하며 아쉬움을 달랠 수 있었다. 작은 체험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직접 찍어낸 주황색 고양이 그림 책갈피는 오래 기억에 남을 소중한 추억이 되었다. ‘2025 대한민국 문학축제’는 첫 회라는 상징성뿐만 아니라, 전국 곳곳에서 시민들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생활 속 문학축제’라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깊다. 전국 각지의 도서관, 서점, 문학관에서는 전시, 공연, 체험 프로그램은 물론 국내외 작가를 초청하는 행사, 토크와 낭독 무대, 독서대전 등 풍성한 문화 일정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필자가 거주하는 고양시에서는 10월에 ‘2025 고양독서대전’이 개최될 예정이며, 9월 독서의 달을 맞아 지역 도서관에서는 다양한 연계 행사가 진행되고 있다. ‘2025 책 읽는 대한민국’ 캠페인에 꾸준히 참여해 온 필자는, 이번 ‘대한민국 문학축제’를 계기로 9월 말 서울어린이대공원에서 열리는 북토크, 공연, 전시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에도 참여할 계획이다. 문학은 단지 책장 속에 머물러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함께 읽고 만나고 쓰며 즐길 때 비로소 그 힘을 발휘한다. 이번 축제가 더 많은 시민들이 가까운 도서관과 문학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책 읽는 즐거움 속에서 서로의 삶을 나누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