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경제 전반의 소비 심리 위축과 소상공인의 경영난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이 본격화되고 있다. 지난 9월 진행된 ‘동행축제’는 내수 소비를 진작시키고 소상공인의 매출 증진을 도모하기 위한 전국 단위의 대규모 소비 촉진 행사로 기획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행사의 개최 배경에는 경기 침체라는 보다 근본적인 문제가 자리 잡고 있다.
동행축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각적인 솔루션을 제시했다. 먼저, 온라인 판매전에서는 총 6307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온라인 판로 확대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특히 롯데온의 ‘동행제품100’ 기획전에서는 동아식품의 김가네 식탁 감자탕이 전년 동기 대비 26배, 호정식품의 옛날 도나스가 13배의 매출 증가를 보이는 등 성공적인 사례를 남겼다. 쿠팡의 동행제품100 기획전 역시 다정한 마켓의 반려동물 간식껌과 부쉬맨의 워터프루프 선크림이 각각 6400만 원, 6000만 원의 매출을 올리며 주목받았다.
오프라인 판매전에서도 144곳의 지역 행사 및 정책 매장을 통해 327억 원의 매출을 달성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했다. 특히 비수도권 지역과 인구감소 지역의 행사 비중을 늘려(전체 76% 비수도권, 24% 인구감소 지역) 전국적인 소비 회복과 소상공인 활력 제고라는 목표에 부합했다. 제주 개막식은 1만 8000명이 방문하는 등 성황을 이루었고, 롯데백화점 상생판매전은 1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대기업, 소상공인, 전통시장이 함께 성장하는 선순환적 유통 구조 마련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또한, 상생소비복권과 민간기업의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는 소비 심리를 자극하는 데 일조했다. 1000만 명이 응모한 상생소비복권 이벤트와 7개 TV홈쇼핑사 및 7개 카드사의 적극적인 참여는 소상공인 제품 판매 확대와 골목상권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배달의민족 또한 제주 지역 및 집중호우 피해 지역에 대한 할인 쿠폰 발급으로 지역 상권 회복을 지원했다.
이러한 동행축제의 성공적인 결과는 침체된 내수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고 소상공인들에게 희망의 불씨를 지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 최원영 소상공인정책실장은 “따뜻한 소비는 소상공인에게 작은 희망의 불씨가 되고 우리 경제에는 힘찬 숨결을 불어넣는다”고 언급하며, 오는 10월 29일부터 11월 9일까지 개최될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을 통해 쇼핑, 여행, 문화 등 다양한 소비 혜택을 제공하여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이러한 노력들이 지속적으로 이어진다면 소비 심리 위축과 소상공인 경영난이라는 복합적인 문제 해결에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