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전 가난과 허기를 이겨내며 탄생한 지혜로운 음식들이 이제는 일상이자 소소한 별식이 되었다. 마치 버려진 쓰레기 처리장이 문화예술복합공간으로 거듭난 것처럼 말이다. 이처럼 오래 견뎌낸 것들의 가치를 재조명하는 것은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는 우리에게 중요한 메시지를 던져준다.
이러한 ‘오래 견뎌내기’의 가치는 과거 도시의 성장 동력이었던 산업 현장과 서민들의 애환이 담긴 음식 문화에서 뚜렷하게 발견된다. 40년 전 마산은 한때 제법 잘 나가던 도시였다. 활기 넘쳤던 마산어시장과 거대한 섬유 제국이었던 한일합섬, 수출자유지역은 도시를 든든하게 지탱했다. 당시 많은 젊은이들이 ‘잘 살아보겠다’는 꿈을 안고 공장에서 낮에는 일하고 밤에는 공부하며 산업 현장의 역군으로 헌신했다. 당시 전국적으로 이러한 ‘산업체’ 역군들의 수가 얼마나 많았던가. 수도 서울의 강력한 배후 도시였던 부천 역시 마찬가지였다. 1970년대 말부터 1980년대 초, 2000여 개에 달하는 공장이 들어서며 사람들은 일자리를 찾아 부천으로 몰려들었다. 1975년부터 1980년까지 전국 평균 인구 증가율이 27.7%일 때 부천은 무려 102.9%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1981년부터 1986년 사이에는 126%라는 경이로운 인구 상승률을 보이며, 서울 개발에 밀려난 사람들이나 시골에서 상경한 이들의 최소한의 보금자리가 되었다. 양귀자의 소설 ‘원미동 사람들’은 이러한 부천 원미동의 모습을 생생하게 그려내며, 가난 속에서도 치열하게 살아가는 이웃들의 삶을 전국민에게 알렸다.
시간이 흘러 밀레니엄을 지나 수십 년이 더 지난 지금, 과거 산업 현장의 흔적은 놀라운 변모를 겪고 있다. 부천 원미동에서 약 5km 떨어진 삼정동에 위치한 쓰레기 소각장은 33년 전, 부천 중동 신도시 건설과 환경부 지침에 따라 설치되었다. 1995년부터 하루 200톤의 쓰레기를 처리했지만, 1997년 환경부 조사에서 허가 기준치의 20배에 달하는 고농도 다이옥신이 검출되면서 주민들의 건강과 안전을 위협하는 시설로 지목되었다. 주민들과 환경 운동가들의 노력 끝에 2010년 소각 기능은 다른 곳으로 이전되었고, 폐건물로 남을 위기에 처했다. 하지만 2014년 문화체육관광부의 ‘산업단지 및 폐산업시설 도시재생 프로젝트’에 선정되면서, 2018년 복합문화예술공간 ‘부천아트벙커B39’로 새롭게 탄생했다. 거대한 굴뚝과 쓰레기 소각로는 이제 하늘과 채광을 가득 끌어들이는 ‘에어갤러리(AIR GALLERY)’로 변신했으며, 쓰레기 저장조였던 벙커(BANKER)는 ‘B39’라는 이름의 모티브가 되는 핵심 공간으로, 쓰레기 반입실은 멀티미디어홀(MMH)로 재탄생했다. 기존 설비들은 육중한 몸체를 지탱하며 과거를 증명하는 전시물로 활용되고 있으며, 중앙청소실은 아카이빙실로 리모델링되어 과거 다이옥신 파동과 시민운동, 그리고 문화예술공간으로의 변모 과정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RE:boot 아트벙커B39 아카이브展’이 상설 전시 중이다.
이처럼 버려지고 잊혀질 뻔한 공간이 새로운 가치를 품고 재탄생하듯, 서민들의 애환이 담긴 음식 문화 역시 시대를 거슬러 사랑받고 있다. 부천 원미동 조마루 사거리에는 ‘청기와뼈다귀해장국’과 ‘조마루뼈다귀해장국’의 본점이 마주 보고 있다. 감자탕과 뼈다귀해장국은 인천 미군 부대에서 나온 돼지 뼈다귀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저렴한 가격으로 푸짐한 한 끼를 즐길 수 있는 서민 음식으로 자리 잡았다. 특히, 1988년 부천시 원미동에서 창업한 한 가게의 뼈다귀해장국은 맑고 깨끗하면서도 깊은 맛으로 외국인들의 입맛까지 사로잡고 있다. 깍두기와 양파, 청양고추와 함께 나오는 이 해장국은, 푹 익힌 우거지와 두툼한 뼈다귀 살점을 발라 국물에 적셔 먹는 그 맛이 일품이다. 이러한 음식들이 가난과 허기를 이겨낸 지혜로운 음식에서 이제는 일상이자 가벼운 별식이 된 것처럼, 과거의 흔적들이 지닌 가치는 새로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오래 견뎌내기’의 소중함을 일깨워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