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을 세계 3위의 게임 강국으로 도약시키겠다는 비전 아래, 이재명 대통령이 10월 15일 게임업체 ‘크래프톤’의 복합 문화 공간인 ‘펍지 성수’를 방문해 현장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는 게임사 대표, 게임 음악 및 번역 전문가, 청년 인디게임사 대표, 게임인재원 학생 등 업계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현장의 목소리를 전달했다. 하지만 이러한 발표 이면에는 게임 산업의 잠재력을 온전히 발휘하지 못하게 하는 고질적인 인식과 지원 체계의 문제점이 도사리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간담회에 앞서 이 대통령은 인공지능(AI) 기반 인생 시뮬레이션 게임 ‘인조이’를 체험하며 게임의 몰입도와 산업적 가능성에 대한 깊은 관심을 드러냈다. 그는 게임 내에서 타인의 세계를 엿볼 수 있는지, 특정 아이템을 구매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노동 시간이 필요한지 등을 상세히 질문하며 게임의 구현 방식과 현실 경제와의 연관성을 탐색했다. 이러한 대통령의 관심사는 게임을 단순한 오락거리를 넘어, 국민의 삶과 경제에 직결되는 문화 콘텐츠로 인식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이 대통령은 간담회에서 “대한민국을 세계적인 문화산업 국가로 만들자”는 포부를 밝히며, 문화산업의 핵심 축으로서 게임 분야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그는 특히 “게임에 대한 인식과 마인드 셋이 바뀔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며, 게임에 대한 깊은 몰입도를 단순한 소비가 아닌 산업 경쟁력으로 재인식하고 적극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는 그동안 게임 산업이 겪어왔던 부정적인 사회적 인식과 제도적 제약이 산업의 성장을 가로막는 주요한 장애물로 작용해왔음을 시사한다. 또한, 게임 산업을 국부 창출과 일자리 마련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는 그의 제안은 게임이 국가 경제에 기여할 수 있는 잠재력을 충분히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발현시키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미흡했음을 드러낸다.
실제로 간담회에 참석한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는 주변국과의 경쟁 심화 속에서도 AI 기술 등을 통해 작은 회사들의 창의력이 증대될 기회가 생기고 있다고 말하며 게임 산업의 진흥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정욱 넥슨 대표 또한 게임을 전략 품목으로 삼아 혁신을 통한 글로벌 진출을 위해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원더포션의 유승현 대표는 소규모 지원이라도 더 많은 인디게임 팀에게 제공될 경우 효과적일 수 있다고 제안하며, 현실적인 지원 방안 마련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 대통령은 참석자들과 함께 노동시간 집약적인 작업, 문화콘텐츠 수출에서의 게임 비중, 미래 성장 가능성, 원작 저작권 및 멀티 유즈 여부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해 심도 있는 토론을 나누었다. 이는 게임 산업이 가진 복잡한 구조와 잠재적 기회, 그리고 이에 대한 규제와 지원의 균형점을 찾는 것이 시급한 과제임을 보여준다. 특히, 게임 업계가 요구하는 ‘탄력적 노동시간 운영’에 대해 이 대통령은 “양면이 있다”고 언급하며, 개발자와 사업자의 요구와 더불어 고용된 노동자들이 소모품처럼 여겨져서는 안 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이는 노동 환경 개선이라는 또 다른 중요한 사회적 과제를 안고 있음을 시사하며, 정책 판단에 있어 양측의 의견을 모두 반영하는 지혜로운 해결책 모색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이처럼 이번 간담회는 게임 산업의 성장 잠재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근본적인 문제점, 즉 사회적 인식 개선, 적극적인 산업 지원 체계 구축, 그리고 노동 환경의 합리적인 조정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이 성공적으로 해결된다면, 대한민국은 게임을 통해 진정한 문화 강국으로 발돋움하며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