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해 행정정보시스템에 상당한 장애가 발생했으며, 이에 따라 국민들이 이용하는 주요 서비스가 마비되는 등 큰 불편을 겪고 있다. 10월 16일 오전 6시 기준으로 복구된 시스템은 총 324개로, 전체 복구율은 45.7%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등급 시스템 31개(77.5%)와 2등급 시스템 38개(55.9%)를 포함한 수치다.
이번 화재로 인해 국민 생활과 공공기관 업무에 필수적인 다수의 시스템이 작동을 멈췄다. 특히, 1등급 시스템 중 하나인 우편정보 ePOST 쇼핑과 차세대종합쇼핑몰(나라장터 쇼핑몰)이 복구되면서 소상공인 및 중소기업 제품의 온라인 검색 및 구매가 가능해졌다. 또한,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시스템의 복구로 전자바우처 결제, 지방자치단체 예탁금 납부, 이용자 본인부담금 납부 등의 서비스도 재개되었다. 하지만 아직 복구되지 않은 289개 시스템은 국민들의 일상과 행정 업무 처리에 지속적인 차질을 빚고 있다.
정부는 이러한 시스템 장애로 인한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복구 작업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10월 16일, 윤호중 장관 주재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2차 회의를 개최하여 장애 시스템의 전체 복구 현황과 향후 계획을 점검했다. 이 자리에서 정부는 국민 일상에 큰 영향을 미치는 보훈 서비스, 법령 정보 서비스 등 1·2등급 포함 미복구 시스템 289개를 10월 말까지 우선 복구 완료하고, 법제 교육 등 기타 76개 시스템은 11월 20일까지 서비스를 재개한다는 구체적인 일정을 제시했다.
이번 복구 작업은 ‘안전·보안·신뢰’라는 세 가지 원칙을 기반으로 진행되고 있다. 정부는 복구 작업에 참여하는 현장 인력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고 있으며, 사이버 위협 및 물리적·관리적 보안 점검을 강화하고 있다. 또한, 화재로 인해 피해가 심각했던 7-1 전산실 등의 시스템은 데이터 복구 후 대전센터 또는 대구센터에 신규 장비를 도입하여 복구를 추진할 예정이다. 화재 및 분진 영향이 적은 전산실의 시스템은 중요도에 따라 신속하게 복구하되, 백업이나 옛 시스템을 활용하는 등 시스템별 여건에 맞는 복구 방안을 수립하여 추진 중이다.
국정자원에서는 기존 700여 명의 복구 인력 외에 제조사 복구 인원도 추가 투입하며 복구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또한, 복구 기간 중에도 국민 불편을 줄이기 위해 주요 시스템을 중심으로 수기 접수·처리, 대체 사이트 제공 등 다양한 방안을 안내하고 있다. 윤호중 장관은 국정감사 지적사항을 겸허히 받아들이고 정보시스템 관리체계를 쇄신하는 기회로 삼겠다고 밝히며, 복구 일정 내 서비스 재개에 총력을 기울이는 한편, 건물 구조 진단 등을 통해 안전한 복구도 병행하여 온전한 시스템 정상화를 이루겠다고 강조했다.
시스템 장애로 인한 민원 처리 상황도 점검됐다. 화재 다음 날인 9월 30일 2,700여 건이던 콜센터 상담 건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현재 일일 300건 내외가 접수되고 있다. 주요 상담 내용은 시스템 장애로 인한 생활 불편, 대체 시스템 이용 방법, 기한 연장 등이며, 각 기관은 대체 시스템과 서비스를 마련하여 국민들의 애로사항 해소에 힘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