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 화재로 인해 국가 정보 시스템에 광범위한 장애가 발생하며 국민들의 불편이 가중되고 있다. 13일 6시 기준으로 전체 260개 시스템, 즉 36.7%만이 복구된 상황으로, 특히 1등급 시스템의 75%에 해당하는 30개 시스템과 2등급 시스템의 51.5%인 35개 시스템이 여전히 먹통 상태이다. 이러한 시스템 마비는 국민 생활과 직결되는 주요 서비스의 정상적인 운영에 큰 차질을 빚고 있다.
이번 화재는 특히 국민 생활과 밀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심각한 영향을 미쳤다. 1등급 시스템 중 하나인 우편정보 ePOST 쇼핑(우체국 쇼핑)과 차세대종합쇼핑몰(나라장터 쇼핑몰)의 복구가 지연되면서, 국민과 공공기관은 소상공인 및 중소기업의 물품을 온라인으로 편리하게 검색하고 구매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시스템의 복구 지연은 전자바우처 결제, 지방자치단체의 예탁금 납부, 이용자의 본인부담금 납부 등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에 제약을 초래하고 있다.
이에 행정안전부는 13일 윤호중 장관 주재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1차 회의를 개최하고, 정보 시스템 장애 복구 현황 및 구체적인 복구 방안을 논의하는 한편, 관련 민원 처리 실태를 긴급 점검했다. 중대본은 대국민 주요 서비스와 업무 등급을 우선순위로 설정하여, 최단 시간 내에 서비스를 재개할 수 있는 복구 방식을 마련하고 이를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화재와 분진 피해가 심각했던 7-1 전산실 등은 데이터 복구 후 대전센터 또는 대구센터에 신규 장비를 도입하여 시스템을 복구할 예정이다. 화재 및 분진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은 전산실은 중요도에 따라 신속하게 시스템을 복구하되, 7-1 전산실과 관련된 시스템은 백업 또는 기존 시스템을 활용하는 등 시스템별 여건에 맞는 맞춤형 복구 방안을 수립하여 추진한다. 이를 위해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은 기존 700여 명의 복구 인력 외에 제조사 복구 인력까지 투입하며 복구 작업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한편, 이번 정보 시스템 장애로 인해 발생한 불편 민원 처리 상황도 면밀히 점검됐다. 화재 다음날인 9월 30일에는 2700여 건의 관련 콜센터 상담이 접수되었으나,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이며 현재는 일일 300건 내외로 줄어든 상황이다. 주요 상담 내용은 시스템 장애로 인한 생활 불편, 대체 시스템 신청 방법, 기한 연장 등이며, 각 기관은 대체 시스템과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마련하여 국민과 현장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윤호중 장관은 “정부는 시스템별 상황에 맞는 세부 복구 방안을 수립·추진하여 중요 서비스부터 신속히 정상화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며, “연일 밤낮으로 복구에 매달리고 있는 정부·공공기관 및 민간업체 직원의 근무 환경을 세심하게 살피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