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30일 서울 중구 서울중앙우체국을 방문해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관련 전산장애 대응 행정민원서비스 현장점검을 하고 있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해 발생한 행정정보시스템 장애는 국민들에게 상당한 불편을 야기하며 정상적인 행정 서비스 이용에 차질을 빚었다. 특히 추석 연휴를 앞두고 119안전신고와 국가기록포털 등 핵심 시스템의 마비는 안전 및 재난 관리, 기록물 접근에 대한 우려를 증폭시켰다. 또한, 국민신문고 서비스 중단으로 인한 민원 소통의 단절 역시 시급한 해결 과제로 떠올랐다.
이에 행정안전부는 윤호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행안부 장관) 주재로 중대본 회의를 열어 복구 현황을 점검하고 구체적인 대응 방안을 논의하며 문제 해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2일 오전 6시 기준으로 총 110개 시스템이 복구되어 서비스가 재개되었으며, 이는 국민 불편 해소를 위한 신속한 조치의 일환이다. 특히, 소방청의 119안전신고 서비스 복구는 연휴 기간 중 안전 관리의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며, 국가의 각종 기록물을 제공하는 국가기록포털의 재가동 역시 국민들의 정보 접근성을 회복시키는 중요한 성과이다.
이번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복구 속도를 최대한 높이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민간 전문가와 연구기관 인력을 현장에 투입하고 예비비를 지원하는 등 가용한 모든 자원을 동원하고 있다. 또한, 대통령실 AI 미래기획 수석이 직접 현장을 방문하여 복구 단축 방안을 논의했으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및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 전문 연구기관의 참여는 안정성과 재발 방지를 고려한 근본적인 대책 마련으로 이어지고 있다.
시스템 중단으로 인한 행정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대체 수단 마련에도 힘쓰고 있다. 국민신문고 서비스 중단으로 불편을 겪었던 국민들을 위해 과거에 사용했던 시·군·구 새올시스템의 온라인 상담 창구를 복원하여 지자체별 온라인 민원 상담 서비스를 재개하도록 했다. 이는 시스템이 완전히 정상화될 때까지 국민들이 겪는 불편을 줄이기 위한 실질적인 방안으로 평가된다. 행안부는 복구된 시스템과 주요 서비스 현황을 네이버와 카카오를 통해 수시로 갱신하여 국민들에게 안내하고 있으며, 수수료 감면 지원 현황 및 추가 지원 방안도 점검하며 범정부 차원의 국민 불편 해소를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이번 국가 행정정보시스템 장애 사태를 계기로 정부는 국가 정보관리시스템을 근본적으로 재설계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모든 행정력을 동원하여 신속하게 시스템을 복구하는 동시에, 범정부 차원에서 주요 정보시스템과 운영 시설을 전수 점검하여 재발 방지에 만전을 기할 계획이다. 윤호중 장관은 추석 연휴 기간에도 행정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도록 하고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실시간 복구 현황 공개와 대체 서비스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이러한 노력들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다면, 국민들은 더욱 안전하고 편리하게 행정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