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30일 서울 중구 서울중앙우체국을 방문해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관련 전산장애 대응 행정민원서비스 현장점검을 하고 있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한 행정정보시스템 마비 사태의 후속 조치가 본격화되고 있다. 당초 시스템 중단으로 인한 행정 공백과 국민 불편이 우려되었으나,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피해를 본 110개 시스템의 복구가 완료되었으며, 특히 119안전신고와 국가기록포털 등 국민 생활과 직결된 주요 서비스가 재개되면서 불편 해소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이번 행정정보시스템 장애는 추석 연휴를 앞두고 발생하여 국민들의 우려를 더욱 증폭시켰다. 윤호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행정안전부 장관)은 2일 중대본 회의를 통해 이러한 상황에 대한 송구함을 표하며, “필수적인 행정서비스부터 차질 없이 운영될 수 있도록 최우선 순위를 두고 복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실제 이날 오전 6시 기준으로 110개 시스템이 복구되어 서비스 제공이 재개된 것은 이러한 복구 노력의 가시적인 성과로 평가된다. 특히, 소방청의 119안전신고 서비스 복구는 긴 연휴 기간 동안 국민 안전과 재난 관리 측면에서 큰 힘이 될 것으로 예상되며, 국가의 각종 기록물 정보를 제공하는 국가기록포털의 재가동 역시 정보 접근성을 회복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러한 복구 속도를 높이기 위해 정부는 민간 전문가와 연구기관 인력까지 현장에 투입하는 등 모든 가용 자원을 총동원했다. 대통령실 AI 미래기획 수석이 직접 현장을 방문하여 복구 단축 방안을 논의했으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및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 전문 연구기관의 인력 또한 복구 작업에 참여하여 안정성과 재발 방지까지 고려한 근본적인 대책 추진에 힘을 보태고 있다. 또한, 시스템 중단으로 인해 국민 불편이 가중되었던 국민신문고 서비스의 경우, 과거에 사용되던 시·군·구 새올시스템의 온라인 상담 창구를 복원하여 지자체별 온라인 민원 상담 서비스를 긴급 재개하는 등 가능한 대체 수단을 적극적으로 마련하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복구된 시스템 및 주요 서비스 현황을 네이버와 카카오를 통해 수시로 갱신하여 안내하고 있으며, 복구 속도를 최대한 끌어올리기 위해 예비비 투입을 포함한 다각적인 전략을 실행하고 있다.
이번 화재 사태는 국가 정보관리시스템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일깨우는 계기가 되었다. 윤호중 장관은 “국가 행정정보시스템의 신속한 복구에 최우선을 두고 모든 행정력을 집중하는 한편, 범정부 차원에서 주요 정보시스템과 운영시설을 전수 점검하는 등 국가 정보관리시스템을 근본적으로 재설계하겠다”고 밝혔다. 더불어 “추석 연휴 기간에도 행정서비스가 멈추지 않도록 실시간 복구 현황을 공개하고 대체 서비스를 마련하는 등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하며, 이번 사태를 계기로 더욱 안정적이고 견고한 국가 정보 관리체계를 구축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