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립극장이 ‘창극 중심의 세계 음악극 축제’를 통해 동아시아 음악극의 현재와 미래를 조망하는 첫걸음을 내디뎠다. 9월 3일(수)부터 28일(일)까지 국립극장에서 열리는 이번 축제는 우리나라 창극을 중심으로 동시대 음악극의 흐름을 살펴보고자 기획되었다. ‘동아시아 포커싱(Focusing on the East)’을 주제로 열리는 제1회 축제는 한국, 중국, 일본 3국의 전통 음악 기반 음악극 총 9개 작품, 23회의 공연으로 관객들을 맞이한다.
축제의 배경에는 한국 고유의 음악극인 창극을 세계적인 음악극으로 발돋움시키고자 하는 국립극장의 노력이 담겨 있다. 1900년대 초 형성되어 오늘날까지 발전해 온 창극은 판소리의 주요 요소를 활용하면서도 여러 배우가 각자의 역할을 맡아 다인극 형태로 공연하는 것이 특징이다. 전국 각지에서 다양한 축제가 열리고 있지만, 국립극장에서 개최되는 이번 <세계 음악극 축제>는 제1회 개최라는 점과 세계적인 축제로 나아가겠다는 포부를 담고 있다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이번 축제의 개막작으로는 국립창극단의 신작 <심청>이 선정되었다. 고전소설의 주인공인 효녀 심청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이 작품은, 자기희생적인 효심에 초점을 맞춘 기존의 틀에서 벗어나 억압받았던 사회적 약자를 대변하는 인물로 심청을 재해석했다. 2017년 ‘올해의 연출가’로 선정된 요나 김이 극본과 연출을 맡아 전통 판소리의 깊이를 유지하면서도 현대적인 시선으로 심청을 그려내며 호평을 받았다. 비록 직접 관람하지는 못했지만, 공연을 본 지인들의 긍정적인 반응이 축제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축제는 4주간 다채로운 해외 초청작과 국내 초청작, 국립극장 제작 공연으로 구성된다. 9월 13일(토)에는 해외 초청작 <죽림애전기>와 국내 초청작 <정수정전>이 연이어 공연되었다. 특히 <죽림애전기>는 중국 월극을 바탕으로 한 작품으로, 가면을 쓴 배우들이 서사에 맞춰 노래와 춤, 연기를 선보이며 무술까지 더해 관객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2023년 홍콩 아츠 페스티벌에서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은 이 작품은 위나라 말기에서 진나라 초기, 죽림칠현 후손들의 삶을 도가 철학과 은둔의 미학 속에서 그려냈다. 이 작품은 홍콩 단체 관광객들을 비롯해 다수의 외국인 관객들이 관람하며 문화관광의 현장을 보여주었다.
축제를 찾은 중국인 유학생 호곤 씨와의 인터뷰는 이번 축제가 단순한 공연 관람을 넘어선 문화 교류의 장임을 보여주었다. 대학원 과제로 <죽림애전기>를 관람하러 온 호곤 씨는 작품이 가정과 국가의 측면을 균형 있게 보여주며, 현대적인 기술과 결합된 역사 문화적 깊이가 인상적이라고 평했다. 또한, 국립극장의 <세계 음악극 축제>가 한국 문화정책의 다양성과 포용성을 잘 보여주며, 창극을 중심으로 다양한 국가의 음악극이 어우러지는 점을 높이 평가했다. 그는 한국 문화 콘텐츠 제작자들이 세계화된 시각과 문화 수출 의식을 가지고 있으며, 선진국의 장점을 흡수하여 전 세계로 확산시키는 점을 한국 문화의 특징으로 꼽았다. 호곤 씨는 내년 축제가 동아시아를 넘어 전 세계로 확장되기를 기대하며, 향후 한중 문화 교류 사업에 참여하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국내 초청작 <정수정전>은 조선 말, 자신의 이름으로 살아가고자 했던 여성 정수정의 서사를 판소리와 민요를 통해 풀어낸 작품이다. 유교 사상이 팽배했던 시대에 여성으로서 겪는 고충에도 불구하고 남장을 하고 과거 시험에 응시하는 등 당당하게 세상에 맞서는 정수정의 모습은 당시 여성들의 애환을 담고 있다. 배우들이 작창과 창작에 참여하는 공동 창작 방식으로 제작된 이 작품은 “모든 것의 중심에 너를 두거라”라는 대사를 통해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살아가고자 하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세계 음악극 축제>는 ‘동아시아 포커싱’이라는 첫 번째 주제를 통해 동아시아 3개국의 전통 음악극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탐구하는 취지를 성공적으로 보여주었다. 이번 축제는 국립극장 프로그램 외에도 광주아시아문화전당, 국립민속국악원 등 다양한 기관과의 연계 프로그램을 통해 그 의미를 더했다. 국립극장은 앞으로도 다양한 해외 작품 초청과 국내외 단체와의 협력을 통해 ‘세계 음악극 축제’를 전 세계 다채로운 음악극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글로벌 축제로 확장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관람객들에게 ‘부루마블’ 이벤트를 제공하는 등 축제를 더욱 즐겁게 경험할 수 있도록 다채로운 즐길 거리를 마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