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사회에서 한국의 기술 표준화 역량에 대한 인식이 다시 한번 확인되었다. 지난 6일부터 10일까지 르완다 키갈리에서 개최된 국제표준화기구(ISO) 총회에서 우리나라가 핵심 의사결정 기구인 기술이사회(TMB)에 연임하는 데 성공한 것이다. 이번 연임을 통해 한국은 2028년까지 기술이사국으로서 ISO의 기술 정책 결정 과정에 지속적으로 참여하며 국제 표준화 무대에서의 영향력을 더욱 확고히 할 수 있게 되었다.
이번 연임은 한국이 국제 표준화 분야에서 갖는 중요성과 역할을 재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TMB는 ISO 내에서 신규 표준위원회 설립 및 해산, 기존 표준위원회 간의 업무 조율, 의장국 임명 등 ISO의 전반적인 표준 활동을 실질적으로 조정하는 매우 중요한 기구다. 한국이 이 핵심 기구에 연임함으로써, 향후 국제 표준화 방향 설정에 있어 한국의 목소리가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
더 나아가, 이번 총회에서 한국은 ‘GPS 기반 개인 위치 서비스 기술’ 분야의 새로운 표준위원회 설립을 제안하고, 이를 위한 워크숍을 주관하며 ISO 회원국들의 지지를 이끌어냈다. 이는 빠르게 발전하는 첨단 기술 분야에서 한국이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다. 또한, 캐나다, 이탈리아 등 주요국 표준화기관과의 협력 MOU 체결과 오는 12월 개최될 ‘국제 AI 표준 서밋’에 대한 주요 인사 초청은 한국의 국제적인 파트너십을 확장하고 글로벌 표준화 논의를 주도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한 것으로 해석된다.
김대자 국표원장은 이번 성과를 바탕으로 “국제 표준화기구에서 리더십을 가지고 국제사회가 신뢰하는 표준 강국으로서 위상을 공고히 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이러한 노력은 한국이 글로벌 기술 경쟁력을 바탕으로 국제 표준화 논의를 선도하고, 장기적으로는 국내 산업의 국제 경쟁력 강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의 기술이사국 연임은 단순히 자리를 유지하는 것을 넘어, 국제 사회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미래 기술 표준을 선점하는 전략적인 움직임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