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제 표준화 분야에서 우리나라의 영향력 확대를 위한 중요한 발걸음이 마련되었다. 지난 6일부터 10일까지 르완다 키갈리에서 개최된 국제표준화기구(ISO) 총회에서 우리나라가 ISO의 핵심 기술 정책 결정 기구인 기술이사회(TMB)에 연임하는 데 성공했다고 13일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이 밝혔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2028년까지 기술이사국으로서 ISO의 기술 정책 결정 과정에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는 국제사회로부터 우리나라의 표준화 역량을 다시 한번 인정받은 결과로 평가된다.
이번 연임 성공의 배경에는 ISO 내에서 우리나라의 표준화 활동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와 더불어, 기술이사회(TMB)라는 기구의 중요성이 자리하고 있다. TMB는 ISO의 신규 표준위원회 설립 및 해산, 기존 표준위원회 간의 업무 조정, 그리고 의장국 임명 등 ISO의 전반적인 표준 활동을 실질적으로 조정하고 관리하는 최고 수준의 의사결정 기구이다. 이러한 핵심 기구에 연임한다는 것은 우리나라가 국제 표준화 논의를 선도하고 주도하는 데 유리한 고지를 확보했음을 의미한다.
더욱이 이번 총회에서 우리나라는 단순한 연임을 넘어, 미래 산업의 핵심 동력이 될 ‘GPS 기반 개인 위치 서비스 기술’ 분야의 표준위원회 설립을 제안하고, 이를 위한 워크숍을 성공적으로 주관하며 ISO 회원국들의 지지를 이끌어내는 데 힘썼다. 이는 우리나라가 신기술 분야에서 국제 표준을 선점하고 주도하려는 적극적인 의지를 보여준 사례이다. 또한, 캐나다, 이탈리아 등 주요국의 표준화 기관과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오는 12월 개최될 ‘국제 AI 표준 서밋’에 주요 인사들의 참여를 요청하는 등 국제 협력 네트워크 강화에도 힘쓰고 있다.
김대자 국표원장은 이번 ISO 기술이사국 연임을 “국제 표준화 무대에서 우리나라의 영향력을 더욱 확고히 할 수 있는 계기”라고 평가하며, “앞으로도 국제표준화기구에서 리더십을 발휘하여 국제사회가 신뢰하는 표준 강국으로서의 위상을 공고히 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이러한 노력들은 국제 표준화 논의에서 우리나라의 목소리를 높이고, 미래 산업 생태계를 주도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