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격히 심화하는 기후위기와 인공지능(AI) 시대의 도래는 국가 재난 및 안전 관리 체계에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최근 이상기후 현상으로 인해 대형 화재 및 붕괴 사고와 같은 복합 재난 발생 빈도가 잦아지면서, 기존의 재난 관리 방식으로는 더 이상 효과적인 대응이 어렵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복합적인 재난 상황은 국가 차원의 재난 관리 패러다임 전환의 필요성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소방청은 이러한 시대적 요구와 정부의 주요 국정과제인 과학기술 및 디지털 전환 기반 재난·안전 대응체계 강화 정책 기조에 발맞추어, 기존 자율기구였던 소방과학기술과를 ‘소방AI기후위기대응과’로 개편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조직 개편은 단순히 명칭 변경을 넘어, 미래 재난 환경에 더욱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소방청의 전략적인 결정이다.
새롭게 출범하는 소방AI기후위기대응과는 소방 현장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첨단 장비의 연구개발 및 기획 업무를 총괄한다. 더불어, 소방 정책에 인공지능을 비롯한 최신 과학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과제를 발굴하고, 해당 기술에 대한 지원을 담당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는 첨단 기술을 재난 대응 시스템에 통합하여 보다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재난 관리 체계를 구축하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이번 조직 개편을 통해 소방청은 첨단 기술을 활용한 과학적 재난 대응 체계를 확립하고, 국민들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안전 서비스를 구현해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 김승룡 소방청장 직무대행은 “AI와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소방정책은 기후위기 시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핵심 수단”이라고 강조하며, “선제적이고 유연한 조직 혁신을 통해 미래 재난에 강한 안전사회를 만들어 가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이러한 변화는 미래의 예측 불가능한 재난 상황에 더욱 신속하고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