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길었던 연휴 기간, 문화생활을 즐기고자 하는 이들의 기대감이 높아지는 가운데 ‘공연·전시 할인권 2차 배포’가 시작되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예술경영지원센터,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함께 9월 25일부터 36만 장의 공연 할인권과 137만 장의 전시 할인권을 배포하며, 이는 그간 바쁘다는 이유로 즐기지 못했던 문화생활을 누릴 기회를 제공하고자 마련되었다.
이번 2차 할인권 배포는 1차 발행 시 드러났던 문제점을 개선하여 실사용률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두었다. 1차 발행 당시 사용 유효기간을 6주로 설정했으나, 발급만 받고 기간 내에 사용하지 않는 비율이 높아 실제 문화 향유로 이어지지 못하는 사례가 많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차 할인권부터는 일주일의 사용 유효기간을 설정하고, 사용되지 않은 할인권은 매주 목요일마다 재발행하는 시스템을 도입했다. 이는 문화 향유의 즉각성을 높이고, 불필요한 할인권 소멸을 줄여 실질적인 혜택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전략이다.
구체적으로, 9월 25일부터 매주 목요일 오후 2시에 할인권이 발급되며, 발급받은 할인권은 다음 주 수요일 자정까지 사용해야 한다. 기간 내에 사용하지 않은 할인권은 자동 소멸되지만, 매주 새로운 할인권이 발행되므로 다음 차시에 다시 발급받아 사용할 수 있다. 할인권은 네이버예약, 놀티켓, 멜론티켓, 클립서비스, 타임티켓, 티켓링크, 예스24 등 7개의 온라인 예매처를 통해 발급받을 수 있다.
할인 혜택은 온라인 예매처별로 공연은 1만 원, 전시는 3천 원 할인권이 매주 인당 2매씩 발급되며, 결제 1건당 할인권 1매가 적용된다. 개별 공연 및 전시 상품 가격이 아닌 총 결제 금액을 기준으로 할인이 적용되므로, 여러 장의 티켓을 구매하여 최소 결제 금액 이상을 충족하면 할인권을 적용할 수 있다. 특히, 서울, 경기, 인천을 제외한 지역에서는 공연은 1만 5천 원, 전시는 5천 원의 할인권을 매주 인당 2매씩 받을 수 있어 비수도권 지역 주민들의 문화 향유 기회 확대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할인 적용 대상은 연극, 뮤지컬, 서양음악(클래식), 한국음악(국악), 무용 등 순수 공연 예술 분야와 시각 예술 분야 전시, 아트페어, 비엔날레 등이며, 대중음악, 대중무용, 산업 박람회 등은 제외된다. 이러한 대상 제한은 순수 예술 분야의 활성화와 대중화를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러한 할인권 제도는 단순한 비용 절감을 넘어, 문화 예술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잠재적 소비자의 참여를 유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취미 생활로서 문화 예술을 즐기고 싶지만 티켓 가격 때문에 망설였던 많은 이들에게 이번 할인권은 큰 호재로 작용할 것이다. 매주 새로운 할인권이 발급되는 시스템은 문화 향유를 일회성 이벤트가 아닌 지속적인 습관으로 자리 잡게 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앞으로 더욱 많은 사람들이 다양한 공연과 전시를 통해 풍요로운 문화 생활을 누릴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