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9월부터 11월까지 카드 사용액이 직전 연도 평균보다 증가한 국민들을 대상으로 최대 30만원 상당의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을 환급해주는 ‘상생페이백’ 사업이 시작되었다. 이는 정부의 민생회복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늘어난 가계 지출 부담을 완화하고 침체된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려는 목적을 담고 있다.
상생페이백의 구체적인 혜택은 이렇다. 지난해 월평균 카드 소비액 대비 올해 9월부터 11월 사이 소비액이 늘어난 경우, 증가분의 20%를 최대 월 10만원씩, 3개월간 총 30만원까지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돌려받을 수 있다. 이 상품권은 지급일로부터 5년간 유효하며, 전통시장 및 소상공인 판매점 등에서 사용할 수 있다. 신청 자격은 2024년도에 체크카드 및 신용카드 사용 실적이 있는 만 19세 이상 국민이라면 누구나 가능하다.
이번 상생페이백 사업은 국민들의 소비 여력이 위축된 상황에서 실질적인 가계 지원을 제공하는 동시에, 전통 시장과 소상공인에게 활력을 불어넣고자 하는 정책적 의지가 담겨 있다. 특히, 대형마트, 백화점, 온라인몰, 명품 전문 매장, 해외 사용 등은 소비액 산정에서 제외되며, 민생회복 지원금 사용처로 인정되는 곳에서 지출한 금액만이 환급 대상에 포함된다. 이는 소비가 지역 상권과 소상공인에게 직접적으로 돌아가도록 유도하려는 취지로 해석된다.
실질적인 환급 혜택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카드 사용처를 신중하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배달앱이나 대형 온라인 쇼핑몰보다는 동네 상점이나 전통 시장에서 현장 결제를 하는 것이 환급률을 높이는 데 유리하다. 또한, 국세청 홈택스에서 연말정산 간소화 자료 조회를 통해 본인의 카드 소비 내역을 확인하고, 상생페이백 누리집에서 소비액 불인정 사용처 목록을 미리 파악해두는 것이 현명한 소비 계획 수립에 도움이 된다.
환급된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은 온라인 전통시장관을 통해 식료품, 생활용품 등 다양한 품목을 구매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땡겨요’와 같은 소상공인 소상공인 배달앱에서도 온누리상품권 결제가 가능하여, 소비자 혜택을 더욱 폭넓게 누릴 수 있다. 이러한 소비는 지역 소상공인의 매출 증대로 이어져 지역 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상생페이백 사업은 신청 첫날에만 79만 명 이상이 몰릴 정도로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이는 국민들이 실질적인 경제적 지원에 대한 높은 기대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번 사업을 통해 국민들은 소비 부담을 줄이는 동시에, 지역 경제 발전에 직접적으로 기여하는 건강한 소비 문화를 경험하게 될 것이다. 앞으로도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의 사용처가 더욱 확대되어 소비자들이 더욱 편리하게 혜택을 누릴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