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쁜 일상에 지친 시민들이 문화 향유의 기회를 얻기 어렵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특히 도시의 중심부에서는 이러한 문화 접근성의 격차가 더욱 두드러지며, 시민들의 문화적 갈증을 해소할 방안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국립극단은 시민들에게 도심 속 예술 경험이라는 특별한 해결책을 제시한다.
국립극단은 8월 20일부터 10월 29일까지 매주 수요일 정오, 명동예술극장 야외마당에서 ‘한낮의 명동극’이라는 이름으로 거리예술 공연을 선보인다. 이번 공연은 서커스, 인형극, 마임, 연희 등 다양한 장르를 넘나드는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남녀노소 누구나 무료로 즐길 수 있다는 점에서 시민들의 문화 접근성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립극단은 1950년 창단 이래 연극계를 대표하는 기관으로서 꾸준히 질 높은 작품을 선보여왔으며, 올해는 ‘365일 열려있는 극장’이라는 기치를 내걸고 <한낮의 명동극> 외에도 ‘명동人문학’ 강연 프로그램과 ‘백스테이지 투어’ 등 다채로운 무료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시민들에게 폭넓은 문화 향유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지난 8월 27일, ‘문화가 있는 날’에 진행된 인형극 <곁에서> 공연은 이러한 해결책의 성공적인 적용 사례를 보여주었다. 공연 시작을 알리는 안내 방송에 명동 거리를 걷던 시민들의 발걸음이 멈췄고, 호기심 어린 눈빛으로 바라보던 이들은 이내 이야기에 몰입했다. 단 한 명의 연주자였음에도 불구하고 가야금 선율과 다양한 소품들은 야외마당을 작은 극장으로 변모시켰으며, 그림을 그리거나 가야금 현을 자르는 과감한 연출은 관객들의 뜨거운 호응을 이끌어냈다. 무대와 객석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연주자가 관객에게 말을 걸며 참여를 유도하는 등, 단순한 관람을 넘어 공연의 일부가 되는 경험은 일상 속 짧지만 강렬한 예술 체험으로 특별한 기억을 선사했다. 아이들과 함께 공연을 관람한 한 시민은 ‘예상치 못한 선물을 받은 기분’이라며 만족감을 표했다.
<한낮의 명동극>은 국민이 일상에서 문화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매월 마지막 수요일에 제정된 ‘문화가 있는 날’의 취지와 맥을 같이 한다. 거리예술 공연은 극장의 문턱을 낮추고 관객층을 확대하는 데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시간을 내 극장을 찾기 어려웠던 직장인, 관광객, 길을 지나던 시민 등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관객이 됨으로써 예술이 삶 속에 자연스럽게 자리 잡도록 돕는다. 공연 시간은 작품별로 약 20~40분으로 구성되어 점심시간을 활용하기에도 적합하며, 별도의 예매 없이 자유롭게 관람할 수 있다. 다만, 공연 중 폭우가 예보될 경우에는 공연 중단 또는 취소가 될 수 있다.
국립극단은 이러한 노력을 통해 도심 속 문화의 빈틈을 채우고 시민들의 삶에 예술적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전망된다. 남은 일정 중 ‘문화가 있는 날’에 열리는 공연은 9월 24일과 10월 29일이다. 또한, ‘문화가 있는 날’의 혜택은 명동뿐만 아니라 전국 각지에서 다양하게 제공된다. ‘지역문화통합정보시스템’ 누리집에서는 할인 혜택, 국공립시설 무료 및 연장 개방, 도서관 대출 혜택 등 각 지역별 문화 혜택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시민들은 자신의 상황에 맞는 문화 향유 방법을 쉽게 찾을 수 있다. 매월 마지막 수요일, ‘문화가 있는 날’을 100% 즐길 수 있는 다채로운 콘텐츠를 통해 시민들은 바쁜 현대 사회 속에서 잠시나마 쉼표가 되는 작은 무대들을 만나며 삶의 여유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