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쁜 일상에 지친 현대인들이 도심 한복판에서 잠시나마 문화적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기회가 사라지고 있다. 문화 향유의 접근성이 낮아지면서 많은 시민들이 예술을 멀게 느끼고 있으며, 이는 전반적인 문화 저변 확대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특히 시간적 여유가 부족하거나 지리적 제약으로 인해 극장을 찾는 것이 어려운 이들에게는 더욱 그렇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립극단은 다채로운 거리예술 공연을 선보이며 시민들에게 문화적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국립극단은 8월 20일부터 10월 29일까지 매주 수요일 정오, 명동예술극장 야외마당에서 ‘한낮의 명동극’이라는 이름으로 거리예술 공연을 개최한다. 이번 공연은 서커스, 인형극, 마임, 연희 등 다양한 장르를 아우르며, 남녀노소 누구나 무료로 관람할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 이는 시민들이 일상 속에서 예술을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도록 극장의 문턱을 낮추고 관객층을 확대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한낮의 명동극’은 특히 ‘문화가 있는 날’의 취지와도 맥을 같이 한다. 지난 8월 27일, ‘문화가 있는 날’에 열린 인형극 <곁에서> 공연 현장에서는 이러한 취지가 생생하게 구현되었다. 공연 시작을 알리는 안내 방송에 명동 거리를 걷던 시민들의 발걸음이 멈췄고, 점차 이야기에 몰입하는 모습을 보였다. 단 한 명의 연주자가 가야금 선율과 다양한 소품을 활용하여 야외 마당을 작은 극장으로 만들었고, 과감한 연출과 관객과의 소통은 관객들에게 능동적인 참여 경험을 선사했다. 공연 도중 연주자가 관객에게 말을 걸고 배역을 부여하며 참여를 유도하는 방식은 단순한 수동적 관람을 넘어 공연의 일부가 되는 특별한 경험을 제공했다. 이러한 일상 속 짧지만 강렬한 예술 경험은 시민들에게 잊지 못할 기억으로 남을 것이다.
이처럼 ‘한낮의 명동극’은 시간을 내어 극장을 찾기 어려웠던 직장인, 관광객, 그리고 우연히 길을 지나던 시민들까지 다양한 관객층을 포용하며 예술이 삶 속에 자연스럽게 자리 잡도록 돕는다. 공연 시간은 작품별로 약 20~40분으로 구성되어 있어 점심시간을 활용하여 문화생활을 즐기기에 안성맞춤이다. 별도의 예매 절차 없이 누구나 자유롭게 관람할 수 있다는 점 또한 접근성을 높이는 요소다. 다만, 공연 중 폭우가 예보될 경우에는 공연이 중단되거나 취소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국립극단은 ‘한낮의 명동극’ 외에도 ‘365일 열려있는 극장’을 표방하며 다양한 무료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화요일 오후 7시 30분에는 ‘명동人문학’ 강연 프로그램을, 매월 넷째 주 토요일 오전 11시에는 명동예술극장의 역사와 연극 제작 과정을 엿볼 수 있는 ‘백스테이지 투어’를 진행한다.
남은 ‘문화가 있는 날’ 공연은 9월 24일과 10월 29일이다. 만약 명동을 방문하기 어렵다면 ‘지역문화통합정보시스템’ 누리집을 통해 전국 각지에서 진행되는 ‘문화가 있는 날’ 혜택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 시스템에서는 할인 혜택, 국공립시설 무료 및 연장 개방 정보, 도서관의 ‘두배로 대출’ 등 개개인의 상황에 맞는 다양한 문화 혜택을 찾아볼 수 있다. 매월 마지막 수요일, ‘문화가 있는 날’을 100% 즐길 콘텐츠를 찾고 있다면 명동으로 발걸음을 옮겨보는 것은 어떨까. 혹은 우리 동네에서 열리는 문화 공연은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는 것은 어떨까. 바쁜 현대 사회를 살아가다가 만나는 작은 무대는 일상 속 쉼표가 되어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