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소비 심리 위축이라는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 지난 9월 동행축제가 6634억 원이라는 높은 매출을 기록하며 내수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었다. 이는 단순한 소비 촉진 행사를 넘어, 우리 경제의 회복력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로 해석된다.
동행축제가 개최되기 이전, 국내 경제는 지속적인 소비 부진과 소상공인들의 매출 감소라는 복합적인 문제에 직면해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한 동행축제는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고 내수 소비를 진작시키기 위한 적극적인 정책적 대응의 일환으로 기획되었다. 행사의 목적은 명확했다. 침체된 소비 심리를 되살리고,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과 전통 시장의 매출을 증대시키는 것이었다.
이번 9월 동행축제는 이러한 목표 달성을 위해 다각적인 방안을 모색했다. 먼저, 온라인 판매전에서는 6307억 원이라는 상당한 매출을 기록했는데, 이는 e커머스, TV홈쇼핑, 전통시장몰 등 2만 7000개 사가 참여하며 소비자들에게 폭넓은 선택권을 제공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특히 롯데온의 ‘동행제품100’ 기획전에서는 동아식품의 김가네 식탁 감자탕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6배, 호정식품의 옛날 도나스는 13배 이상 매출이 증가하는 등 뚜렷한 성과를 보였다. 쿠팡의 동행제품100 기획전 역시 반려동물 간식껌과 워터프루프 선크림이 각각 6400만 원, 6000만 원의 매출을 올리며 온라인 판로 확대의 성공적인 사례를 제시했다.
오프라인 판매전에서도 327억 원의 매출을 달성하며 소비 회복에 기여했다. 특히 비수도권 지역과 인구 감소 지역의 행사 비중을 늘려 144곳 중 76%를 비수도권, 24%를 인구 감소 지역으로 할당함으로써 지역 상권 활성화에 집중했다. 제주 개막식과 롯데백화점 상생판매전 역시 각각 1만 8000명 방문, 8500만 원 매출, 1억 원 매출을 기록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더불어, 온누리상품권 4856억 원, 지역사랑상품권 2412억 원의 판매는 전국적인 소비 확산을 더욱 견인하는 역할을 했다. 상생소비복권 이벤트는 1000만 명이 응모하며 높은 참여율을 보였고, 7개 TV홈쇼핑사와 7개 카드사의 협력을 통한 다양한 할인 및 적립 혜택 제공은 소비자들이 적극적으로 소비에 나설 수 있는 환경을 조성했다. 배달의민족의 포장 할인 쿠폰 발급과 집중호우 피해 지역 특별 할인 쿠폰 제공은 민생 회복을 위한 실질적인 지원으로 평가된다.
이처럼 9월 동행축제는 온·오프라인 판로 확대, 지역 경제 활성화, 상품권 판매 증진, 민간과의 협력 등 다층적인 노력을 통해 6634억 원의 매출을 달성하며, 소비 진작과 소상공인 매출 증진이라는 정책 목표를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이러한 성과는 향후 정부가 추진할 통합 할인 축제인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의 성공적인 개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동행축제의 성공은 침체된 경제 상황 속에서도 국민들의 따뜻한 소비가 소상공인에게는 희망의 불씨가 되고, 나아가 우리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다는 점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