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은 오랜만에 가족들이 모여 맛있는 음식을 나누는 따뜻한 시간이다. 하지만 풍요로운 명절 식탁 뒤편에는 필연적으로 많은 양의 음식물 쓰레기 문제가 뒤따른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 발생량을 의식적으로 줄이고자 하는 움직임이 한국환경공단을 중심으로 시작되었다. 한국환경공단은 추석 연휴 기간 동안 음식물 쓰레기 감량을 위해 10월 1일부터 14일까지 2주간 ‘추석 명절 음식물 쓱싹 줄이기’ 행사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 캠페인은 명절 음식물 잔반을 줄이고 낭비 없는 음식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이번 ‘추석 명절 음식물 쓱싹 줄이기’ 행사는 음식물 쓰레기가 평소보다 급증하는 명절 기간 동안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근본적인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자 마련되었다. 특히, 무선인식(RFID) 종량제 후불제를 사용하는 세대를 대상으로 하며, 행사 포스터에 첨부된 큐알 코드를 통해 무선인식 태그 인쇄 번호를 입력하면 신청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을 통해 개인별 배출량 관리가 가능해지면서 음식물 쓰레기 감축에 실질적인 동기를 부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환경공단에 따르면, 2023년 기준으로 국내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는 하루 약 1만 4천 톤에 달하며, 이는 전체 쓰레기 발생량의 28.7%를 차지하는 상당한 비중이다. 더 심각한 문제는 음식물의 약 7분의 1이 쓰레기로 폐기되면서 연간 20조 원 이상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수치는 명절 기간의 음식물 낭비가 전체 쓰레기 문제에 미치는 영향이 결코 작지 않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이번 캠페인은 단순한 일회성 행사를 넘어, 지속 가능한 음식 문화 정착을 위한 중요한 발걸음이 될 수 있다.
캠페인의 구체적인 진행 방식은 다음과 같다. 무선인식 음식물 쓰레기 관리시스템을 활용하여 10월 1일부터 14일까지 세대별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을 분석한다. 이후 평상시 배출량과 비교하여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이 감량된 세대 중 50세대를 추첨하여 10월 30일에 모바일 상품권을 지급할 예정이다. 이러한 인센티브 제공은 참여율을 높이고 실질적인 감량 노력을 이끌어낼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RFID 배출기를 사용하면서 개인별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이 줄어드는 효과가 나타나고 있으며, 쓰레기 1kg당 63원의 배출 요금이 부과되는 지역에서는 배출량에 따른 요금 부과 방식이 쓰레기 감축 노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춰, 본 기자가 속한 가구 역시 이번 캠페인에 참여하여 추석 연휴 기간임에도 불구하고 평소보다 낮은 수수료를 지불하며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을 줄이는 경험을 했다. 이는 환경 보호와 음식물 낭비 절감이라는 의식적인 소비 생활이 실제적인 절감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한국환경공단은 지난 3년간 명절 연휴 기간 동안 RFID 종량제 사용 가정을 대상으로 진행된 캠페인을 통해 총 6,200톤의 음식물 쓰레기를 감량한 성과를 밝히며, 올해에도 많은 가정의 적극적인 동참을 당부했다.
공단 측은 생활 속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를 위한 실질적인 방안도 함께 제시했다. 첫째, 장을 보기 전 미리 리스트를 작성하여 불필요한 충동구매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냉장고 속 재고를 미리 확인하는 습관은 이러한 불필요한 소비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 둘째, 남은 음식을 재활용하여 새로운 요리를 만드는 방법도 효과적이다. 남은 채소를 활용한 볶음밥이나 샐러드는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는 동시에 건강한 집밥을 만드는 좋은 방법이다. 이러한 사소해 보이는 습관들이 모이고 쌓이면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을 확실하게 줄일 수 있으며, 추석 기간뿐만 아니라 일상에서도 꾸준히 이어가야 할 노력이다.